지난해 3월 27일 새벽, 쫒겨나듯 개성공단에서 추방돼 이명박 정부 들어 남북당국간 관계가 단절된 첫 신호탄이 됐던 개성공단내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가 오늘(7일)부터 정상운영에 들어간다.

북측은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방북시(8.10-17) 개성공단 활성화를 약속했고, 8월 20일자 중앙특구개발총국 명의로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에 보내온 통지문을 통해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를 정상 운영하며 해당 관계자들의 출입, 체류를 이전과 같이 한다”고 알려온 바 있다.

7일 오전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일일브리핑에서 “오늘부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가 정상운영된다”며 “지난 9월 3일 남과 북은 개성남북경제협력 협의사무소를 9월 7일부터 정상 운영하기로 합의하고 양측 사무소에 근무자 명단을 교환한 바 있었다”고 밝히고 “이에 따라 오늘 우리측에 경협사무소 근무자들이 아침 9시 경 도라산 출입사무소를 거쳐서 개성으로 출경했다”고 확인했다.

통일부 관계자에 따르면 “오늘 오전 9시에 9명, 오후 3시에 유종렬 소장 등 2명이 들어간다”며 “우리측은 그간 시설관리를 해온 1명을 포함해 모두 13명의 명단을 제출했고, 북측은 6명의 명단을 제출했다”고 전했다.

남북이 상호 통보한 근무인원 명단에 포함된 우리측 인원 중에는 2명의 민간기관 파견원이 포함됐으며, 개성으로 들어가지 않은 한 명은 서울에서 업무를 처리하고, 북측은 명단을 제출한 6명 외에 보조인원을 추가로 배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유종렬 소장은 <통일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우선 경협사무소를 이용했던 사업자들이 중국 단동이나 북경을 통해 업무하다보니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실제로 사업 추진하는데 확실한 확인장치도 없어 애로가 많았다”며 “경협사무소를 이용하게 되면 쌍방 당국이 사업의 안정성을 보장해주고 여러 애로를 해소해줄 수 있게 돼 빨리 개소해주면 좋겠다는 의견들이 많았다”고 전했다.

유 소장은 이번 경협사무소 재개소의 의미를 “경협사업자들의 편의를 다시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하고 남북 당국인원 철수의 복귀라는 측면에 대해서는 “일단 큰 의미를 부여한다기 보다는 정상화 된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싶다”고 말했다.

2005년 10월 문을 연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는 그간 대북 경협사업자들에게 사업협의와 업무연락, 견본송달 등의 업무를 상시적으로 지원해왔으며, 분단 이후 최초로 북측에 개설되는 남북 당국 차원의 첫 상설기구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이날 경협사무소의 원상회복으로 경협사업자들의 경협사업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남북 당국간 관계 개선에도 작은 주춧돌이 놓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