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가 건국 이후 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국장'(國葬)으로 엄수된다.
국장은 재임 중인 1979년 10월 26일 서거한 박정희 전 대통령 이후 30년만의 일이다. 장례 기간은 김 전 대통령이 서거한 18일부터 오는 23일까지 6일간이며, 장지는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이다.
박지원 전 비서실장은 19일 오후 "정부로부터 김대중 전 대통령님의 영결식을 오는 8월 23일 국장으로 결정했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영결식은 23일 오후 2시 공식 빈소인 국회 잔디광장에서 치러진다. 정부는 이같은 내용을 이날 저녁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 유족 쪽은 20일 오후 12시 입관식을 하고 김 전 대통령의 시신을 국회로 옮긴다. 노제 등 세부 일정과 장례위원 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국장 기간은 9일 이내, 국민장은 7일 이내에서 각각 치를 수 있지만, 김 전 대통령의 국장 기간이 줄어든 것은 국민장을 주장하던 정부와 국장을 원하던 유족 및 민주당 입장이 절충된 결과로 보인다.
특히 장례기간이 3, 5, 7, 9일 등 홀수날로 정해지는 것과 달리 김 전 대통령의 국장이 6일장으로 치러지는 것은, 국장으로 치를 경우 임시 공휴일로 지정되는 점이 감안됐다. 박 전 비서실장은 "정부는 금융위기, 국가경제 문제 때문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저희들도 이 문제에 대해서 함께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정부의 경제정책에 발을 맞추는 것이 대통령님의 생전 유지이기 때문에 종교적 이유도 불문하고 6일장, 일요일을 수용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무현 전 대통령 등 전직 대통령 서거 때 국민장으로 치렀던 전례를 감안했던 정부가 국장을 수용하되, 장례기간을 줄여 임시공휴일을 피함으로써 최상급 장례인 국장에서 다소 격을 낮추는 모양새를 취한 것으로 해석된다.
법률상 장례위원장은 한승수 총리가 맡게 되지만, 유족 쪽에서는 공동장례위원장을 바라고 있어 향후 좀 더 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결식은 일요일 종교행사를 피해 오후 2시에 치르자는 이희호 여사의 뜻을 따랐다.
한편, 이희호 여사는 본인과 김 전 대통령의 수의를 미리 준비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관은 시중에 판매되는 목관제품으로 대통령을 상징하는 봉황문양이 새겨졌다고 최경환 전 비서관이 전했다. 입관식은 유족들이 참가한 가운데 천주교 의식으로 치러진다.
유족 쪽은 빌 클린턴 전 미 대통령 등 세계 각국 600여 인사들에게 김 전 대통령의 장례일정을 이메일을 통해 알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