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6시 서울 종로 한국기독교연합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한신대 '평화와 공공성 센터' 창립기념행사의 기념강연을 통해 이같이 말하면서, "지금 정부는 남북대화를 열지 못해서 국제적 흐름에서 소외된 처지에 놓여 있다"며 "남북대화는 시급히 재개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고립과 소실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대통령은 "나는 6자회담의 장래에 대해서 희망을 가지고 있다. 결국 6자회담이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보체제를 만들 것"이라고 확언하면서 "문제는 우리다"고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명박 대통령이 취해야 할 '결단'으로 먼저, 6.15남북공동선언과 10.4선언에 대한 '인정'을 들며 "이 문제의 인정 없이는 남북관계의 정상적인 추진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또 △대북식량지원 △개성공단 기숙사 건설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을 주문하는 한편, 북한에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거로의 역주행" 우려도

햇볕정책의 정당성과 '1동맹 3협력체제론'(미국과의 동맹을 굳건히 하고 중.일.러와 협력관계 유지)을 설파한 김 전 대통령은 "지금 일부에서는 과거로의 역주행이라는 말이 빈번히 나오고 있다"면서 "우리 국민이 피와 눈물로 쟁취한 우리의 민주주의를 앞으로도 굳건히 지켜낼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강연을 마치고 이례적으로 20여분 간 질의응답 시간을 가진 김 전 대통령은 미국발 세계경제 위기에 대해 "미국이 시장경제를 한 것은 잘했지만, 시장을 너무 방임하다가 이렇게 된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한국경제가 나아갈 방향으로 "대통령과 경제팀이 국민한테 신뢰를 받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1997년 외환위기를 상기하면서 "정부를 국민이 믿고 기업이 믿으니까,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금모으기도 했다. 이것에 세계가 놀라서 돈을 빌려주기 시작했다. 국민들이 들고 일어나서 (정부를) 지지한 것을 보고 도와 준 것"이라며 "국민이 정부를 신뢰하고 따라오면 경제는 성공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3강 대국'으로 인해 미국과의 동맹이 필요하다고 역설한 김 전 대통령은 "동북아시아에서 평화와 안보체제가 이뤄지면, 그때는 한미동맹도 변화할 수 있다. 안보체제가 완전히 이뤄지기 전까지는 한미동맹을 굳건히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현범 기자
cooldog893@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