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오전 통일부 김호년 대변인이 <노동신문> 논평원 글에 대한 정부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북한이 여러 가지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명을 한 것이고, 저희는 이 내용에 관해서 북한의 향후 상황을 지켜볼 것이고, 남북대화를 통해서 관계를 개선하려는 그 의지의 변함이 없다는 점을 말씀을 드린다,”

16일 오전 10시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일일브리핑에서 이날 발표된 북한 <노동신문> 논평원의 글에 대해 “논평원의 글이란 정부가 대내외적으로 발표하는 공식입장은 아니다”며 이같이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김호년 대변인은 “그렇지만 당보인 노동신문에서 글을 썼기 때문에 ‘당의 입장을 우회적으로 대변하는 글이다’ 하는 것이 평가이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번 논평원의 글에서의 특이점을 “‘최고의 존엄성을 건드리면’ 이라는 구절과 가정법을 전제로 해서 ‘계속 나간다면 우리는 전면차단을 포함한 중대 결단을 내릴 수 밖에 없게 될 것이다.’ 이 정도의 내용”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논평원의 글은 성명이나 담화보다는 비중이 높지 않다”면서도 “북한의 동향에 대해서는 그것이 중요하건 중요하지 않건 크건 작건 중대하건 사소한 것이건 다 관심의 대상에 놓고 주시를 하면서 남북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근 반북단체들이 선전전단(삐라)을 살포한 문제가 북측을 자극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자제를 요청을 했고 또 만나서 얘기를 했다”면서 “법리적인 문제가 있다. 여러 가지 애로사항이 있다”고 고충을 내비쳤다.

▲ '정부가 너무 상황을 안이하게 보고 있는 것은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졌다.
[사진-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개성공단 사업이나 민간교류의 전면 중단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아직 예측을 해서 얘기 한다는 것이 조금 무리”라며 “민간교류와 방북은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고 있고 많은 인원이 가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개성공단이나 개성관광 중단 가능성에 대해 “정부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해서 대비를 하는 것이 정부의 기본 임무라는 것을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계속 진정성 갖고 대화를 제안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측은 남측의 대북정책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데 대해서는 “우리 정부는 ‘상생.공영의 정책’에 의해서, 원칙에 의해서 일관되게 진지하게 대화를 추구해 나가는 것이 기본입장이다”며 “북한도 노력을 해야 되고 우리 정부도 노력을 해야 되고, 관계개선을 위해서 쌍방이 같이 노력을 해야 된다”고 말했다.

기자들 사이에선 정부가 정권 초기의 대북정책 ‘조정기’라며 너무 상황을 안이하게 보고 있는 것은 아니냐는 걱정과 질책성 질문이 쏟아졌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