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통일뉴스 박현범 기자]
주한미군 반환기지에 따른 환경오염 부담금을 한국정부가 '덤터기' 쓴 데다가, 60만t에 달하는 노후 탄약의 처리 비용마저 한국이 떠맡게 될지도 모른다는 관측까지 나옴에 따라 시민단체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오는 31일부터 6월 1일 양일간 개최되는 한미 전쟁예비물자(WRSA) 프로그램 종결을 위한 최초 협상에서 ‘미국이 노후 탄약의 폐기 비용을 한국 정부가 부담하면 WRSA를 한국군이 원하는 만큼 이양하겠다’는 내용이 한 언론에 보도되면서, 반환기지 환경오염 부담금과 방위금 분담금 문제에 이어 '전쟁예비물자' 처리 문제로 또다시 '불평등한 한미관계'가 도마 위에 올랐다.

▲ 노후된 탄약을 폐기하는데만 6억 5천만 달러가 소요되는 것을 알려졌다. [사진-통일뉴스 박현범 기자]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평통사)’, 무건리훈련장백지화추진위원회, 미국기지확장반대 팽성대책위.평택대책위,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남측본부 등 9개 시민단체는 15일 서울 광화문 미대사관 인근 KT 앞에서 ‘제92차 반미연대집회’를 열어 “한국이 미국의 폐기탄약을 이양 받을 경우, 그에 대한 비용 부담과는 별도로 탄약을 폐기하는 데만 6억 5천만 달러(미 국방부 추산)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또한 탄약을 폐기하면서 발생할 환경오염 또한 심각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금까지 한국에 비축된 WRSA 탄약은 약 60만t 정도며, 이중 20년 이상 장기 보관된 노후 탄약은 20만t 정도로 알려졌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미 국방부가 WRSA-K폐기법안을 미 의회에 제출하면서 보고한 자료를 인용해 “WRSA-K를 한국에 이양할 경우 미국은 13억 달러의 비용절감 효과를 보는 반면, 모두 미국에 되가져 갈 경우 6억 4천만 달러 이상, ‘비군사화’(폐기)할 경우 6억 5천만 달러 이상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면서 “13억 달러의 비용 부담과 환경오염을 회피하는 한편, 일부 물자에 대한 이양 비용까지 받아내기 위해 한국에 협상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남측본부 안신정 홍보위원장은 “단순하게 돈으로 환산되는 문제가 아니다”면서 한미간 합의된 바 있는 ‘전략적 유연성’에 따른 문제를 제기했다.

▲ 안신정 홍보위원장은 전쟁예비물자 프로그램 종결에 따른 문제점은 '전략적 유연성'과 관계돼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통일뉴스 박현범 기자]
그는 “69만 명의 미군이 남측에 와서 전쟁을 수행하던 것이 ‘전략적 유연성’으로 인해 스트라이커 부대가 핵심지역을 기동 타격하는 것으로 바뀌면서 전쟁예비물자가 필요 없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 홍보위원장은 이어 “더욱 중요한 것은 (작전계획 변경이) 동포인 북을 상대로 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전략적 유연성과 한미동맹을 폐기하고 통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집회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제주 해군기지 건설’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들은 지난 14일 제주도가 실시한 여론조사와 관련 “한국 갤럽의 여론조사는 제주도민 전체와 후보지의 찬반 비율과의 차이가 너무 크고, 면접조사 대신 전화조사 방식으로 이뤄졌을 뿐만 아니라 여론조사 대상 1500명 중 해당지역 주민(위미, 강정, 화순)은 고작 103명만 포함되었으며, 제주도가 여론조사 원자료의 공개마저 거부하고 있어 신뢰성에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평화네트워크 이준규 정책실장은 “백번 양보해서 여론조사가 합당하다고 인정하더라도, 반대 여론이 40%에 육박함에도 불구하고 해군기지 건설을 추진하는 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정면 도전이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들은 "국방부와 해군은 원유 수송로를 보호하기 위해서 제주 해군기지 건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면서 “해적이 출몰하는 말라카 해협이 위험하다면 우회항로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경제적”이라면서 “순다 해협을 이용할 경우 말라카 해협을 이용할 때보다 42시간이 더 걸리지만 추가비용은 1억 원이 소요되는 대신 제주해군기지를 모항으로 할 KDX-Ⅲ로 호송단대를 구성할 경우 1회 출항에 3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국방부와 해군의 제주 군사기지 건설 계획을 “한미동맹이 지역동맹화, 포괄동맹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것”으로 규정한 이들은 “제주에 해군기지가 건설되고 이를 근거로 북한과 중국을 겨냥한 '지역해양안보구상(RMSI)'이 가동되면 동북아의 군사적 긴장과 군비경쟁은 불가피할 것이며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과도 충돌할 것이 분명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