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돌이켜 보면, ‘존립위기’와 ‘자위’ 명목으로 대외침략을 감행하는 것이 일본 군국주의의 상투적 수법임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19일 ‘대만 유사시와 일본의 존립위기를 연결 짓고 이 사태가 발생할 경우 집단자위권 발동을 시사’한 다카이치 일본 총리에 대해 “유엔헌장에 규정된 집단자위권은 국제사회의 집단안전을 보장하고 파시스트 세력 부활을 방지하기 위해 창설된 권리”이고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 권리 행사가 제한됐다”면서 이같이 일축했다.
“1931년 ‘만주를 얻을 수 있는가’는 ‘일본의 존립을 위협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일본은 이를 구실로 ‘9.18사변’을 일으켜 중국 동북부를 침략했다. 그후 일본은 ‘대동아공영권은 일본의 존망지전’이라며 침략의 불길을 아시아 전역으로 옮겼다. ‘진주만 공격 여부’도 ‘일본의 존립을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태평양 전쟁의 불씨가 되었다.”
마오 대변인은 “경종은 이미 울렸으나 비극이 되풀이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중국인민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을 맞아 국제사회는 군국주의를 부활시키려는 어떠한 시도도 강력히 경계하고 단호히 저지해야 하며 전후 국제질서를 함께 지키고 세계 평화를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8일 주유엔 중국대표가 일본은 안보리 상임이사국 자격이 없다고 밝힌 데 대해, 마오 대변인은 “유엔헌장에 따르면, 안보리는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 관련 1차적 책임이 있”는 데 “일본은 2차대전 중에 침략전쟁을 일으켜 아시아와 세계에 심각한 재앙을 가져왔다”고 쏘아붙였다.
“오늘까지도 일본은 전쟁범죄 책임을 철저히 반성하지 않고 (...)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여 침략 역사를 왜곡, 부인, 심지어 미화하고 있다. 다카이치 총리는 최근 대만 관련한 잘못된 발언을 공공연히 하면서 중국 내정에 거칠게 간섭하고 (...) 전후 국제질서에 도전하고 있다”며 “이러한 국가”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될 자격이 없다”고 못박았다.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금지했다’는 보도에 대해, 마오 대변인은 “최근 다카이치 일본 총리의 대만 등 주요 원칙 문제에 대한 잘못된 발언이 중국 민중의 강한 공분을 불러일으켰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며 “현 상황에서는 일본 수산물이 중국으로 수출되더라도 시장이 없을 것”이라고 확인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글로벌타임스]는 20일 사설을 통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잘못된 발언을 한지 2주 가까이 되었지만 중일관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심각한 반향은 여전하다”며 “유감스럽게도 일본 지도부의 자신의 발언을 명확히 정정할 만큼의 정치적 책임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중국은 여러 채널을 통해 일본에 입장을 전달했다”면서 “이 문제에 대해서는 타협이나 양보의 여지가 없다”고 못박았다.
[글로벌타임스]는 “만약 일본이 고집스럽게 자기 길을 가겠다고 주장하거나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지 않거나 심지어 도발적 행동을 한다면, 중국은 추가로 더 강력한 대응조치를 취할 충분한 정당성과 필요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나아가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은 단지 신호일 뿐”이라며 일본이 잘못된 발언을 즉시 철회하지 않고 버틴다면 “불장난을 하는 자는 필연적으로 더 심각한 결과를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