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9 공동선언 7주년’(19일)을 맞아 이재명 대통령이 남북관계에 접근하는 데서 “인내심”을 강조했다.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7년 전 오늘, 남북은 평양에서 (...) 군사합의를 채택했다. 군사합의가 이행되면서 남북 사이의 긴장이 낮아지고 한반도에는 모처럼 평화의 기운이 감돌았”으나 “안타깝게도 최근 몇 년 간 남북 간 대립이 크게 고조되면서 군사합의는 사실상 무력화되었고, 신뢰는 크게 훼손되었으며, 심지어 대화마저 끊겼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평화는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의 기본 토대”라며 “제가 취임 직후부터 대북 방송 중단, 대북 전단 살포 중단 등의 조치를 취한 까닭”이라고 했다. 또한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흡수통일을 추구하지 않으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이 없다는 (광복 80주년 경축사에서의) 제 약속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확인했다.
“한 번 깨진 신뢰가 금세 회복되지는 않을 것”인데 “신뢰는 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행동과 실천에서 나오는 법이기 때문”이라며 “엉킨 실타래를 풀듯 인내심을 갖고 임하겠다”고 밝혔다.
전임 윤석열 정권 시기 망가진 남북관계가 돌이키기 어려운 지경인데다, 북한이 남북대화는 물론이고 북미대화의 필요성조차 느끼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현실을 염두에 둔 것이다.
이 대통령은 “9.19 군사합의 정신 복원을 위해, 대화와 협력을 통한 한반도에서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대통령으로서 정부가 해야 할 일을 국민과 함께 차근차근 해나가겠다”며 “다시는 접경지역 주민들이 밤잠 설치는 일 없도록, 다시는 우리 경제가 군사적 대결로 인한 리스크를 떠안는 일이 없도록, 다시는 분단을 악용한 세력으로부터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일이 없도록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전날(18일) 올린 글을 통해서는 “전쟁 등 갈등 상황이 마무리되며 발생하는 경제적 이득을 뜻하는 용어로 ‘평화배당’을 제시”한 마이클 샌델 교수를 만났다며 “이 개념이 우리 대한민국에게는 매우 각별한 의미를 가지며, 평화가 결코 손실이 아닌 현실적 이익이라는 점이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다”는 샌델 교수의 발언을 소개했다.


출처 : 통일뉴스(http://www.tongil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