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특사단이 17~18일 인도와 영국을 각각 방문, 대통령 친서를 전달하고 신정부의 대외정책과 대북정책 기조 등을 설명하고 양국간 협력을 모색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를 단장으로 하는 대통령 인도 특사단이 인도 뉴델리를 방문하여 17일 모디 인도 총리에게 이재명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김부겸 전 국무총리를 단장으로 하는 대통령 인도 특사단이 인도 뉴델리를 방문하여 17일 모디 인도 총리에게 이재명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외교부는 18일자 보도자료를 통해 김부겸 전 국무총리를 단장으로 하는 대통령 인도 특사단이 인도 뉴델리를 방문하여 모디 인도 총리에게 이재명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인도 정부・의회 주요 인사를 면담했다고 밝혔다. 인도 특사단에는 이개호 의원과 송순호 최고위원이 포함됐다.

특사단은 새 정부의 국정철학과 대외정책을 설명하면서 새 정부는 실용주의 기조 하에 ‘세계질서 변화에 실용적으로 대처하는 글로벌 책임 강국’을 만든다는 비전과,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는 단호히 대응하되, 군사적 긴장완화와 신뢰구축 조치를 통해 남북 간 대화와 교류를 재개하고 한반도 평화와 공존의 길을 열어나가고자 한다는 대북정책 기조를 설명했다.

17일 이재명 대통령의 친서를 받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인도 방문을 초청하고, 조선 분야 협력을 적극 희망한다고 말했다.

인도 특사단은 17일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 외교장관과 면담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인도 특사단은 17일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 외교장관과 면담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인도 특사단은 18일 옴 비를라 하원의장과 만났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인도 특사단은 18일 옴 비를라 하원의장과 만났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인도 특사단은 17일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 외교장관과 페리아사미 쿠마란 아태차관, 18일 옴 비를라 하원의장과 만났으며, 17일 한-인도 우호공원을 방문하여 인도군 한국전 참전 기념비에 참배했다. 또한 18일 저녁 우리 기업인·교민과의 간담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외교부는 “이번 인도 특사단 파견은 인사를 대상으로 우리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보여주고, 신정부의 국정철학 및 대외정책 비전 하에 양국 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한-인도 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도약과 긴밀한 실질 협력을 이어가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추미애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영국 특사단이 조나선 파월(Jonathan Powell)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추미애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영국 특사단이 조나선 파월(Jonathan Powell)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외교부는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추미애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영국 특사단이 조나선 파월(Jonathan Powell)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주요 인사를 면담했다고 밝혔다. 영국 특사단에 최민희, 박선원 의원이 포함됐다.

특사단은 캐서린 웨스트 (Catherine West) 외교부 정무차관과 누스랏 가니(Nusrat Ghani) 하원 선임부의장 등을 만났으며, 영국 의회 국제의원연맹 그룹 주최 오찬에 참석한 영국 의원들과도 교류했다. 또한 한국전 참전 기념비를 찾아 헌화했다.

영국 특사단은 18일 버논 코커(Vernon Coaker) 국방부 국무상과 면담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영국 특사단은 18일 버논 코커(Vernon Coaker) 국방부 국무상과 면담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사진 제공 - 외교부]
영국 특사단은 한국전 참전 기념비를 찾아 헌화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특히 18일 버논 코커(Vernon Coaker) 국방부 국무상을 면담하고 국방방산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으며, 웨스트 외교부 정무차관은 “우크라이나 지원문제에 관해서도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이번 영국 특사단 파견은 영국의 주요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강조하고 새 정부의 국정철학 및 대외정책 비전하에 양국 간 실질 협력 강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함으로써 한영 글로벌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성과를 알렸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