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현지시각) 미국 법무부는 북한 해커들이 신분을 위조하여 100개가 넘는 미국의 IT기업에 취업했으며, 일부 미국 기업과 개인이 제공한 노트북을 원격으로 제어해 이같은 일이 가능하도록 한 '노트북 팜'에 대한 단속을 진행중이라고 발표했다.
미 연방수사국(FBI)는 같은 날 애틀랜타와 조지아주 소재 블록체인 연구·개발 업체에 신분을 위장해 원격 취업한 혐의로 기소된 북한 국적 4명의 20대 남성에 대go 500만 달러(약 68억원)의 현상금을 걸고 공개수배령을 내렸다.
북한은 이에 대해 "우리 국가의 영상에 먹칠을 하기 위한 황당무계한 중상모략이며 엄중한 주권침해행위"라고 강력 반발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4일 [조선중앙통신]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은 무근거한 《싸이버》자작극을 날조하여 우리 공민들의 안전과 권익을 위협하고 침해하는 미사법당국의 도발행위에 엄중한 우려를 표시하며 이를 강력히 규탄배격한다"고 밝혔다.
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불순한 정치적목적의 사법집행행위로부터 우리 공민들의 안전과 권리를 철저히 보호하고 외부의 악성행위자들에게 엄격한 법적책임을 추궁하기 위한 적절하고도 비례적인 대응조치를 취할 권리를 보유하고있다"고 하면서 "미국의 그 어떤 적대행위도 절대로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공민들의 합법적권익을 견결히 수호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변인은 "미국은 오래전부터 싸이버공간을 전장화하여 우리 나라를 비롯한 주권국가들의 싸이버안전에 부단한 위협을 조성하고있으며 싸이버문제를 다른 나라들의 영상과 합법적권리행사를 훼손하기 위한 정치적무기로 도용하고있다"고 역공을 취하기도 했다.


출처 : 통일뉴스(http://www.tongil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