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중 신임 통일부차관이 23일 업무를 시작하면서 "남북간 통신망 개통 등 작은 것부터 시작하여 남북관계의 엉킨 실타래를 풀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취임사에서 "지금 한반도 평화는 우리가 상상하고 싶지 않았던, 그 이상의 난관에 봉착환 상황"이라며, "마치 칼날 위를 걷는 듯한 위기감"이라는 표현을 썼다.
남북대화의 단절이 꽤 오래되고 북한이 '적대적 두국가'를 주장하며 남측과 거리감을 더하고 있으며, 주변 4강을 비롯한 국제 정세는 한치 앞도 예측할 수 없는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는 것.
"갈 길이 멀다 할지라도 서두르지 말고 하나하나씩 차분하게 남북간 신뢰를 쌓아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통일부 내부에 대해서는 "먼저 그간의 정책추진과정을 냉정하게 되돌아 볼 것"을 당부했다.
"용기와 상상력이 부족한지 않았는지, 경직된 접근방법을 고집하지 않았는지, 정책수요자에 대한 충분한 고려는 있었는지" 를 따져보고 "아프게 성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이제 지속가능한 정책추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평화문제에 관심을 가진 다양한 계층과 전문가들이 활동할 수 있는 '평화 인더스티리'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통일부도 민생부처로서 국민의 삶에 기여해야 한다"고 하면서 △접경지역 주민들의 안전과 발전 △지방정부와 협력 확대 △이산가족과 국군포로·납북자·억류자 가족의 인도적 문제 지원 △탈북민에 대한 고용지원 강화 등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제시하기도 했다.
김 차관은 "통일부는 평화를 만들어가는 조직. 상황과 여건을 기다리는 조직이 아니라 그것을 만들어 가는 조직"이라며, "통일부가 가진 전문성위에 상상력을 더한다면 모두가 안된다고 하는 일을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직원들을 독려하기도 했다.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남북회담본부 상근회담대표, 통일 정책실장으로 일하다 퇴직 후 차관으로 돌아온 통일부에 대해서는 "(민간인으로 지내는 동안) 통일부에 있을 때 보이지 않았던 통일부의 진면목과 아쉬운 점을 함께 보았다"며, "통일부가 저평가받는 상황을 다시 맞닥뜨리지 않도록 보다 견실한 조직으로 만들언 나가야 한다"고 의욕을 보였다.
이를 위해 △합리적이고 공정한 평가 △평가 결과에 합당한 보상 △이를 인정하는 조직문화를 갖추어야 한다며 "'연차'와 '출신'이 순서를 결정하지 않을 것이며 '역량'과 '열심'이 존중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