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회 한중일 외교장관회담’이 22일 오전 일본 도쿄에서 열렸다. 회담 결과를 밝힌 공동기자회견 모습. [사진 제공 - 외교부]
‘제11회 한중일 외교장관회담’이 22일 오전 일본 도쿄에서 열렸다. 회담 결과를 밝힌 공동기자회견 모습. [사진 제공 - 외교부]

“불법적인 러북 군사협력은 즉각 중단되어야 하며, 우크라이나 종전 과정에서 북한이 잘못된 행동에 대해 보상을 받아서는 안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조태열 외교부장관은 22일 오전 9시 일본 도쿄 외무성 이쿠라 공관에서 왕이(王毅)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과 ‘제11회 한중일 외교장관회담’을 가진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10회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는 2023년 11월 부산에서 열렸다.

‘제11회 한중일 외교장관회담’이 22일 오전 일본 도쿄에서 열렸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제11회 한중일 외교장관회담’이 22일 오전 일본 도쿄에서 열렸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조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3국 공동의 이익이자 책임임을 다시한번 확인했다”며 “나는 한일중 3국이 유엔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는 한편, 북한의 도발중단과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고 밝혔다.

특히 북러 간 군사협력의 즉각 중단과 “우크라이나 종전 과정에서 북한이 잘못된 행동에 대해 보상을 받아서는 안된다”는 대목을 강조했다고 밝혀 주목된다. 크럼프 미 대통령의 등장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전으로 나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그간 러시아를 도와온 북한이 전후 복구와 개건에 참여할 가능성을 견제하고 나선 것.

조 장관은 “북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안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3국이 소통과 협력을 계속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중일 외교장관 공동기자회견 모습. [사진 제공 - 외교부]
한중일 외교장관 공동기자회견 모습. [사진 제공 - 외교부]

이와야 일본 외무상은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과 러북 군사협력, 암호자산 탈취 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며 “북한의 비핵화가 공통의 목표이며 안보리 결의의 완전한 이행을 비롯해 긴밀히 의사소통하고 싶다는 점을 이야기했다”고 밝혔다.

왕 부장은 한반도 정세가 “복잡하고 예민하며 불안정과 불확실 요소가 늘고 있다”고 진단하고 “각 측은 한반도 문제의 근원을 직시하고 마주 보고 선의를 내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서로 소통을 진행하며 최대공약수를 추진해야 한다”며 “중국은 관련측, 국제사회와 함께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한반도 문제에 관한 이른바 ‘건설적 역할’을 다시 한 번 재확인한 셈이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사진 제공 - 외교부]

이와야 외무상은 일본이 올해 주관국을 맡아 추진하는 한중일 정상회의에 대해 “가능한 한 조기에, 적절한 시기에 개최할 수 있도록 작업을 가속하기로 의견 일치를 봤다”고 전했다.

아울러 올해 한국이 의장국을 맡은 APEC 정상회의에 대해서도 3국이 협조를 약속했고, 내년 중국의 APEC 의장국 수임과, 2031년 일본의 수임에 대해서도 상호 지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왕 부장은 “역내 경제통합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면서 “3국은 자유무역협상(FTA) 재개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확대 추진, 지역 공급망 원활화를 위한 대화와 소통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우리는 다국간주의와 자유무역을 견지해 보다 공평하고 포괄적인 경제의 글로벌화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3국 외교장관들은 이날 한중일 협력 사무국(TCS) 사무총장단 임기를 연장하는 의정서에 서명하기도 했다.

조태열 외교부장관은 22일 낮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양자회담 및 오찬을 가졌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조태열 외교부장관은 22일 낮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양자회담 및 오찬을 가졌다. [사진 제공 - 외교부]

한중일 외교장관회담 직후 조태열 외교부장관은 22일 낮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양자회담 및 오찬을 갖고, 한일관계, 북한·북핵 문제, 지역·글로벌 문제에 관해 협의했다.

외교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양 장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공조 의지를 재확인하는 한편, 엄중한 국제정세 속에서 여러 불확실성을 헤쳐나감에 있어 양국이 다양한 분야에서 머리를 맞대고 협력 방안을 협의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고, 이러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글로벌 차원에서 한일 및 한미일 3국 간 협력을 더욱 긴밀히 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