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사무국’ 출범 회의가 20일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려 2년 임기의 사무국장직은 우리 외교부 이원우 북미국 심의관이 맡게 됐다.
외교부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외교부는 11월 20일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미국 국무부·일본 외무성과 함께 지난 11월 15일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발표된 한미일 사무국의 출범 회의를 개최했다”고 발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지난 15일 APEC 정상회의 계기에 페루 리마에서 만나 공동성명을 채택, “오늘 우리는 공동의 의지를 조율하고 이행하기 위한 ‘한미일 사무국’ 설립을 발표한다”고 천명한 바 있다.
‘한미일 사무국 출범 회의’는 이원우 심의관, 로버트 케프키(Robert Koepcke) 미 국무부 동아태부차관보, 오우코치 아키히로(Okochi Akihiro) 일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 심의관이 대표로 참석했으며, 사무국 구성 및 운영 방안을 다뤘다.
외교부는 “한미일 사무국 운영과 사무국장직 수임은 한국, 미국, 일본 순서로 2년씩 돌아가며 하기로 했으며, 이에 따라 초대 사무국장은 외교부 북미국 심의관이 맡게 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에 출범한 한미일 사무국을 통해 미·일측과 함께 안보·경제·첨단기술·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협력 사업을 점검·조율하면서 한미일 3국 협력의 제도화와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미일 정상은 지난해 8월 18일 미국 메릴랜드주 캠프 데이비드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캠프데이비드 선언’을 발표, 한미일 관계를 강화했고, 차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다시 3국 정상회담을 갖고 3국 사무소 설치 등 제도화를 통해 쐐기를 박았다.
한편,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19일 논평에서 “1년전 《새로운 3자협력관계》를 출범시키고 서둘러 제도화, 정례화, 보편화에로 질주하고 있는 목적은 다른데 있지 않다”며, “정권들이 바뀌여도 《3자공조》에 의한 저들의 반공화국《대결유산》을 대물림하여 그것을 《고정불변의 국책》으로 영구화하고 조선반도와 지역에서 힘의 균형을 깨버리자는데 그 주요한 목적이 있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