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발 북한의 러시아 파병설에 대해 외교부가 21일 주한 러시아대사를 초치해 북한군 철수 등을 촉구했다. 북러 양국은 러시아 파병을 부인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은 21일 오후 게오르기 지노비예프(Georgiy Zinoviev) 주한러시아 대사를 외교부로 초치, 최근 북한이 러시아에 병력을 파병한 데 대한 우리 정부의 엄중한 입장을 전달하고, 즉각적인 북한군 철수 및 관련 협력 중단을 강력히 촉구했다.
외교부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김 차관은 러북간 군사밀착이 군사물자 이동을 넘어 실질적인 북한군의 파병으로까지 이어진 현 상황이 우리나라는 물론 국제사회를 향한 중대한 안보 위협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이는 다수의 안보리 결의와 UN헌장을 위반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고 전했다.
김 차관은 또한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등 불법적인 군사 협력을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하고, 우리 핵심 안보이익을 위협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국제사회와 공동으로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해 나갈 것임을 엄중히 경고했다.
외교부는 “지노비예프 대사는 우리 정부의 입장을 주의 깊게 들었으며, 이를 본국에 정확히 보고하겠다고 하였다”고 전했다.
주한 러시아대사관은 21일 페이스북 계정에 “지노비예프 대사는 러시아연방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협력은 대한민국의 안보 이익에 반하지 않으며 이러한 협력이 국제법의 틀 내에서 실현되고 있다고 강조했다”면서 “한반도 긴장 고조 원인에 대해 러시아연방과 대한민국은 상반된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22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양국 군사협력의 진전 추이에 따라 가용한 조치들을 취해 갈 것으로 안다”며 북한의 파병에 대한 러시아의 대가로 “여러 가지 금전적인 거 또는 첨단기술 이런 것들을 러시아가 북한에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고 답했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초치된 러시아 대사의 반응을 묻는 질문에 “양국 간 외교적 협의에 관한 사안으로서 구체 협의 내용에 대해서는 말하기 어렵다”면서 “불법적인 러시아와 북한 간의 군사 협력 관련해서는 우리 정부는 유관기관, 유관부처, 그리고 관련국들과의 긴밀한 협의하에 앞으로의 조치들에 대해서 협의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22일 오전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 회의를 개최했고,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22일 오후 브리핑에서 “정부는 북한군의 즉각적인 철수를 촉구하며, 현재와 같은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적 야합이 지속될 경우, 이를 좌시하지 않고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하게 대처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8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북한 전투병의 러시아 파병에 따른 긴급 안보회의’ 직후 국가정보원은 지난 8일부터 13일까지 북한군 1,500여명이 러시아 해군 함정에 타고 연해주 블라디보스톡으로 이동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유엔총회 제1위원회(군축)에 참석한 북한 대표는 21일(현지시간)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에 대해 우리 대표부는 주권 국가 간 합법적이고 우호적인 협력 관계를 훼손하고 우리의 국가 이미지를 먹칠하려는 근거 없는 소문에 대해서는 언급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첫 공식 반응을 내놨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대통령실 대변인도 21일(현지시간) 한국의 ‘북한군 파병설’은 “또다른 사기”(another hoax)라고 일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