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경찰은 기구, 무인 비행물체 등을 이용한 대북 전단 살포를 엄정히 조치하고 차단해야 합니다.”
「평화와 연대를 위한 접경지역 주민·종교·시민사회 연석회의」와 「자주통일평화연대」, 「한반도평화행동」이 15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부근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거듭 촉구했다.
“충돌의 뇌관이 되는 행동을 부추기면서 북한 탓만 되풀이해온 정부의 태도는 위기를 부추길 뿐”이며 역대급 민심 이반에 직면한 현 정권이 ‘북한 정권 종말’이니 ‘자유의 북진’이니 허풍떠는 것은 “국민의 불안감만 부채질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어제(10.14) 통일부가 대북 전단 살포 자체를 요청하거나 제재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또다시 강조했다”면서 “국민 생명을 볼모로 충돌을 계속 조장하겠다는 매우 무책임한 태도로 규탄받아 마땅하다”고 질책했다.
이들은 “일촉즉발의 충돌 위기를 막고 시시각각 다가오는 전쟁의 시계를 멈춰 세워야 한다”고 호소했다. “한반도에서 일체의 적대행위와 군사행동은 모두 중단되어야 하며 위기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핫라인 복원 노력도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국회를 향해서는 “폭주하는 정부의 강경정책에 제동을 걸어 전쟁위기를 막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달라”고 호소했다. “위법행위를 방치하여 위기를 격화시키고 국민도 국회도 동의하지 않는 강경정책으로 일관하는 국가안보실장, 통일부 장관, 국방부 장관에게 엄중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접경지역 주민들과 시민사회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평화행동”을 예고했다. 아울러 “불법 행위를 방조하고 국민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책임자의 경질과 문책, 대북전단금지관련 법제 정비 등을 요구하는 행동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윤복남 회장과 한국YMCA 전국연맹 김경민 사무총장이 ‘기자회견문’을 낭독했다.
안지중 자주통일평화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이 사회를 맡았으며, 강화도 주민 함경숙 씨, 파주 주민 윤설현 씨, 연천 주민 서희정 씨, 전국민주노동조합총면맹 함재규 통일위원장, 한반도평화행동 최수산나 공동집행위원장의 발언이 이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