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청사. [사진-합참]
합참 청사. [사진-합참]

“이미 비무장지대에서 정전체제 무력화를 획책해 온 북한의 이번 차단 및 봉쇄 운운은, 실패한 김정은 정권의 불안감에서 비롯된 궁여지책에 불과하며, 앞으로 더욱 혹독한 고립을 초래할 것이다.”

합동참모본부(합참)가 9일 오후 ‘입장’ 자료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날 오전 북한 조선인민군 총참모부가 ‘보도’를 통해 “10월 9일부터 대한민국과 련결된 우리측지역의 도로와 철길을 완전히 끊어버리고 견고한 방어축성물들로 요새화하는 공사가 진행되게 된다”면서 “9일 9시 45분 미군측에 전화통지문을 발송하였다”고 밝힌 데 따른 한국 군대의 반응이다. 

합참은 “우리 군은 일방적 현상변경을 기도하는 북한의 어떠한 행동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사태의 책임은 북한에 있음을 분명히 경고한다”며, “북한이 도발을 감행한다면, 우리 군은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기반으로 도발 원점뿐만 아니라 지원 및 지휘 세력까지 압도적으로 응징할 것”이라고 되풀이했다. 

‘현상 변경 기도’의 내용이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북한이 7~8일 최고인민회의에서 헌법의 영토 조항 변경을 통해 ‘영해선’을 일방적으로 그을 것이라는 관측에 따라 준비한 문구로 보인다. 육상과 달리 해상의 경우, 남북이 합의한 경계선이 없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