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들이 19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UFS 군사연습 중단'을 촉구했다. [사진제공-민주노총]
시민사회단체들이 19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UFS 군사연습 중단'을 촉구했다. [사진제공-민주노총]

‘자주통일평화연대’(구 6·15남측위원회)와 700여 시민·종교단체들의 연대체인 ‘한반도 평화행동’이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한·미 연합군사연습 ‘을지프리덤실드’(UFS)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금 힘을 쏟아야 할 것은 대규모 전쟁연습과 전쟁대비 훈련이 아니라 긴장을 완화하고 무력 충돌을 예방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모든 적대 정책과 군사행동을 당장 멈추고 대화의 환경을 마련하여 위기를 관리할 소통 채널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행하는 가장 큰 훈련 중의 하나”라고 한미연합사 공보실장이 실토한 것처럼 연합야외기동훈련이 지난해 38회에서 48회로, 여단급 연합훈련은 기존 4개에서 17개로 크게 늘었다며 “대북 무력시위의 성격이 한층 강화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모두가 전쟁위기를 걱정하는 지금, 윤석열 정부는 눈과 귀를 막고 적대정책으로만 일관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접경지역에서 대북전단 살포와 확성기 방송 등 충돌 위기를 조장하는 위험천만한 행동들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미국의 전략자산, 유엔사 회원국까지 참여한 가운데 핵전쟁을 상정한 군사훈련을 진행하고, 민관까지 대규모로 동원하여 전쟁 대비 훈련을 진행하는 것은 전쟁 위기를 현실화하는 자해적 조치일 뿐이다.”

[사진제공-민주노총]
[사진제공-민주노총]

자주통일평화연대 한충목 상임대표는 “당국 발표만 보더라도 4천여 개 기관, 58만 명이 참여한다. 세계 군사 훈련 중 가장 큰 규모다. 강도는 실전을 방불케 한다. 참수작전을 가장 중요한 훈련으로 삼는다”라고 질타했다.

시민평화포럼 이태호 운영위원장은 “국내에서 인기 없는 미국 정부, 국내에서 탄핵 위기인 윤석열 정권, 이미 정치생명이 끝장난 일 기시다 내각이 한미일 전쟁 연습을, 한미일 전쟁연합을 꾸려 군사훈련을 한다”면서 “우리는 이러한 도발 행위를 용납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한국 YWCA연합회 최수산나 시민운동국장은 “한반도를 무기고로 만들려는 시도를 벌이고 이득 없고 무지막지한 군사훈련을 멈춰라”고 촉구했다. 나아가 “시민이 부르짖는 평화의 요구에 귀를 열고 적대적 훈련과 전쟁 연습을 멈추고 평화적 외교와 대화의 길을 찾아 나서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변희영 부위원장은 “정부는 이번 모든 공공기관에 을지훈련기간 동안 개인적 사유 휴가 자제 공문이 시행해, 공공기관 노동자를 전쟁훈련에 동원하고 있다. 정말 거꾸로 가는 정부운영이 아닌가”고 꼬집었다. 

그는 “민주노총은 공공기관 노동자가 우리나라에 평화가 자리잡고 통일 되는 날까지, 노동 현장에서 국민과 생명과 안전을 위해 끝까지 일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국방부는 19일 “한미는 8월 19일부터 8월 29일까지, 대응능력과 태세가 한층 더 강화된 2024 UFS연습을 시행한다”고 확인하면서 △현실적인 위협을 반영한 연습 시나리오 진행, △연합야외기동훈련 확대 시행, △유엔사회원국 확대 참가, △범정부 차원의 국가총력전 수행능력 향상을 올해 UFS의 특징으로 들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