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상이 18일 ‘공동성명’을 통해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 이후 1년 간 3국 협력의 성과를 자축했다.
‘공동성명’은 “우리 대한민국, 미합중국, 일본국 정상은 우리의 역사적인 정상회의 이후 1년간 3국 협력에서 이루어진 대단한 진전들을 기념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우리 공동의 이익과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도전, 도발 및 위협에 있어 우리의 협의에 대한 공약을 지켜나간다”고 했다.
특히 “3국 간에 철통같은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으로 연결된 안보 협력을 제고하고, 공동의 경제적, 기술적 우선순위를 더욱 일치시켜 나가며, (...) 견고한 인적 유대를 더욱 확대하기 위한 우리의 의지를 재확인한다”고 적시했다.
3국 협력의 성과로는 △3국 간 다영역 훈련인 프리덤 에지 최초 시행, △새로운 한미일 안보협력 프레임워크 서명, △북한의 사이버 범죄 및 여타 불법적 수단을 통한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 자금원 마련 시도 대응에 초점을 둔 3국 실무그룹이 이루어낸 진전을 들었다.
대통령실은 “3국 정상은 이번 공동성명 발표를 통해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의 역사적 중요성과 한미일 협력에 대한 3국의 굳건한 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한 바, 우리 정부는 앞으로도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 후속조치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한미일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3국 협력의 성과를 자랑하는 세 정상이 처한 정치적 상황은 암담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고질적인 건강 문제로 재선 도전을 포기했고, 역대급 낮은 지지율로 신음해온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자민당 총재 출마를 접었다. 몰상식한 언행을 되풀이한 윤석열 대통령은 한국 국민 대다수가 진저리 치는 대상으로 전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