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31일 [MBC]는 대통령실이 '채상병 사건'에 대한 윤 대통령의 개입을 처음으로 시인했다고 보도했다. [사진 갈무리-MBC]
5월 31일 [MBC]는 대통령실이 '채상병 사건'에 대한 윤 대통령의 개입을 처음으로 시인했다고 보도했다. [사진 갈무리-MBC]

“대통령이 채해병 사건에 개입한 것을 더 이상 부정할 수 없는 상황이 되자, 법적 책임을 피하려는 방법으로 전환한 것 같다. 이른바 ‘법기술’을 동원하려는 것 말이다.”

1일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수석대변인이 “어제 MBC는 윤석열 대통령이 채해병 사건 관련해 두 차례 관여했다고 대통령실 고위관계자 발로 보도했다. 한번은 장병 사망사고에 대한 질책이고 또 한번은 왜 혐의자를 많이 만들었냐며 바로 잡으라는 지시였다고 한다”면서 이같이 질타했다. 

“대통령이 야단도 치고 업무도 바로잡아줄 수 있는 거 아니냐, 위법은 아니다”라는 ‘대통령실 고위관계자’의 주장에 대해서는 “옹색하기 그지 없다”고 일축했다.  

이 대변인은 “대통령은 수사에 구체적으로 개입할 권한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법무부 장관도 서면으로만 수사지휘를 할 수 있다”면서 “말장난으로 국정시스템을 어지럽히면 안 된다”고 쏘아붙였다.

또한 [MBC]와 통화한 고위관계자의 발언이 “진실이라면 대통령이 채해병 사건조사에 구체적으로 개입한 것을 처음으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건에 개입하지 않았다던 대통령실과 국방부의 그간 입장이 “공수처 수사가 본격화되고 재판에서 전화 통화기록이 공개되면서” 뒤집히고 있다는 것이다. 

이 대변인은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라는 “국민의 명령”에 따라 “지난 주에 이어 오늘도 오후 3시 서울역 인근에서 윤석열 정권 규탄 및 해병대원특검법 관철을 위한 범국민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민의 참여와 투쟁을 광범위하게 조직하여 22대 국회 제1호 법안으로 다시 발의한 ‘채해병 특검법’을 반드시 통과시켜 상식과 정의를 바로 세우겠다”고 공언했다.

한편, 원내 3당인 조국혁신당은 1일 오후 2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 전쟁기념관 앞에서 ‘채해병 특검 거부 규탄집회’를 개최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