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개량형 방사포 사격훈련 모습. [사진 갈무리-노동신문]
북한의 개량형 방사포 사격훈련 모습. [사진 갈무리-노동신문]

북한이 30일 아침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합참)는 “우리 군은 오늘(5.30) 06:14경 북한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비행체 십여 발을 포착하였다”면서 “북한의 미사일은 350여 km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하였다”고 밝혔다.

“우리 군은 북한 미사일 발사 시 즉각 포착하여 추적·감시하였으며, 미·일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하였고, 세부 제원은 종합적으로 분석 중”이라고 알렸다.

합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명백한 도발행위로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북한은 지난 27일 밤 신형 운반로켓으로 정찰위성을 쏘아올렸으나 2분만에 공중폭발한 바 있다. 28일 밤에는 한국 공군의 ‘공격편대군 비행 및 타격 훈련’을 문제 삼아 오물이 담긴 풍선을 대거 남쪽으로 보낸 바 있다.

30일 오전 국방부 브리핑에서,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오늘 탄도미사일 관련하여서는 지난번 북한 주장 군사정찰위성이 실패하였고, 또 북한의 내부적인 그런 갈등 사항을 외부로 돌리기 위한 그러한 오물 풍선을 보내고 있지 않는가 평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28일 밤부터 북한이 보낸 풍선에 대해서는 “약 260여 개가 현재까지 발견되었고 현재 공중에 있거나 새로 발견된 것은 없다”고 확인했다. 

그는 “북한군은 5월 28일부터 29일까지 북방한계선 이북의 다수 지역에서 다량의 대남 오물 풍선을 부양하였다”며 “북한군이 살포한 대남 오물 풍선은 경기, 강원 및 수도권과 충남 계룡, 경남 거창 등 남부권역에 광범위하게 낙하하였다”고 밝혔다. 

“풍선의 적재물에서 담배꽁초, 퇴비, 폐건전지, 폐천조각 등 각종 오염물질이 확인되었고 현재 관련 기관에서 이를 정밀 분석 중에 있으며, 현재까지 화생방 오염물질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전단은 없었다”고 했다. 

‘오늘 북한이 쏜 10여발이 초대형 방사포인지 여부’에 대해, 이성준 실장은 “유사한 항적들이 한꺼번에 이동한 걸로 봐서 종류가 많지는 않을 것”이라고 대꾸했다. ‘초대형 방사포’에 무게를 둔 셈이다. 한·미는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를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분류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