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7일 밤 늦게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으나 공중폭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28일 합동참모본부(합참)는 “우리 군은 어제(5. 27) 22시 44분경 북한이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서해 남쪽방향으로 발사한 ‘북 주장 군사정찰위성’ 1발을 포착하였다”면서 “22시 46분경 북한측 해상에서 다수의 파편으로 탐지되어 공중폭발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미 정보당국은 긴밀한 공조 하 세부적으로 분석 중”이라고 알렸다.
합참은 “우리 군은 미측과 긴밀한 공조하에 ‘북 주장 군사정찰위성’ 발사 준비 활동을 추적해 왔고, 한·미·일 이지스구축함을 국가별 지정된 해역에 사전 전개 시켜 경보정보공유체계를 가동하여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북 주장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 활용과 과학·기술협력을 금지하고 있는 유엔 안보리결의를 재차 명백히 위반한 도발행위”라며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되풀이했다.
대통령실은 “군은 22시 44분경 북한의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포착했다”면서 “국가안보실은 대통령에게 관련 내용을 즉시 보고했으며, 23시 40분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안보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여 합참의장의 상황보고를 받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알렸다.
이에 앞서, 북한 당국은 일본 측에 27일 0시부터 다음달 4일 0시 사이에 위성을 발사할 것이라며 1단 로켓 등의 낙하구역 3곳 좌표를 통보했고, 새벽 2시경 일본 해상보안청이 해당 지역에 항행경보를 발령했다.
27일 오후 3시45분(한국시간 오후 4시45분) 중국 외교부는 “리창 국무원 총리가 한국에서 열린 제9차 중일한 정상회의를 마치고 전세기를 타고 베이징으로 돌아왔다”고 발표했다.
일본 당국이 항행경보를 발령한지 20시간 44분 지난 때이자,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5.26~27, 서울)에 참석했던 리창 총리가 귀국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밝힌지 6시간 지난 시점에 북한이 발사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