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긴급 경제안보점검회의를 주재한 윤 대통령. [사진제공-대통령실]
지난 14일 긴급 경제안보점검회의를 주재한 윤 대통령. [사진제공-대통령실]

1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 총선을 통해 나타난 민심을 우리 모두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어려운 국민을 돕고 민생을 챙기는 것이 바로 정부의 존재 이유”라며 이같이 말했다. ‘총선 참패’ 다음날 이관섭 비서실장을 통해 “총선에서 나타난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들어 국정을 쇄신하고 경제와 민생 안정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지 닷새 만이다. 

이날 윤 대통령은 “더 낮은 자세와 유연한 태도로 보다 많이 소통하고, 저부터 민심을 경청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어떻게 ‘경청’하겠다는 것인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총선 참패’에 대한 입장 발표도 대독이나 국무회의 등을 택한 것으로 보아 ‘소통’ 측면에서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는 “취임 이후 지난 2년 동안, 국민만 바라보며 국익을 위한 길을 걸어왔지만,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어 “올바른 국정의 방향을 잡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음에도, 국민들께서 체감하실 만큼의 변화를 만들어 내는데 모자랐다고 생각한다”면서 “큰 틀에서 국민을 위한 정책이라고 하더라도 세심한 영역에서 부족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예산과 정책을 집중해서 물가 관리에 총력을 다했”으나 “어려운 서민들의 형편을 개선하는 데에 미처 힘이 닿지 못했다”거나 “미래세대를 위해 건전 재정을 지키고 과도한 재정 중독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세심하게 살피지 못한 부분이 많다”는 식의 변명을 길게 늘어놓았다.

나아가 “국무위원 여러분께서도 민생 안정을 위해 공직 사회에 일하는 분위기를 잡아 주기 바란다”면서 “아울러서 기강이 흐트러진 것이 없는지 늘 점검해 주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총선 참패’ 이후 ‘공직 사회 다잡기’에 나선 셈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국무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정부의 국정운영이 국민들로부터 매서운 평가를 받은 것으로 받아들인다”면서 “그 매서운 평가의 본질은 더 소통하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국정 방향은 옳다 다만 국정 운영하는 스타일, 소통 방식에 문제 있지 않느냐 하는 게 절대 다수 의견 같다”고 주장했다. 

특히 “대통령은 마무리발언과 참모회의 통해 국민들께 죄송하다고 말했다”면서 “대통령부터 국민의 뜻을 잘 살피고 받들지 못해서 죄송하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이 발언을 왜 TV 통해 공개되는 모두발언에서 하지 않았느냐’는 지적에는 명쾌한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이재명 대표와의 영수회담은 하느냐’는 의문에는 “‘국민 위해선 뭐든지 하겠다 못할 것이 뭐 있느냐’는 발언에 다 포함돼 있다”고 했으나, 22대 국회가 5월말에 개원하는 등 “여야를 위해서도 최소한의 물리적인 시간은 필요하다”라고 단서를 달았다.

이에 대해,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대변인은 “오늘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메시지는, 조금이라도 국정의 변화를 기대했던 국민을 철저히 외면했다”면서 “불통의 국정운영에 대한 반성 대신, 방향은 옳았는데 실적이 좋지 않았다는 변명만 늘어놓았다”고 비판했다. 

“결국 반성은커녕 지금까지처럼 용산 주도의 불통식 정치로 일관하겠다는 독선적 선언이었다”며, “국회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하면서 야당을 국정운영 파트너로 인정하라는 총선 민의에 대해서는 한마디 말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한 대변인은 “대통령이 받아들인 총선 민의는 대체 무엇인가”라고 되물으면서 ““더 낮은 자세와 유연한 태도로 보다 많이 소통하고 민심을 경청하겠다”는 하나마나한 다짐으로 국민을 납득시킬 수는 없다“고 다그쳤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