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윤석열 대통령이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에 김홍일(67) 국민권익위원장을 지명했다. 국회의 탄핵을 앞두고 자진사퇴한 이동관 전 위원장의 후임자로 결국 ‘특수부 검사 출신’을 선택한 것이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을 통해 “2013년 부산 고등검찰청 검사장을 끝으로 검찰에서 물러난 이후 10년 넘게 변호사, 국민권익위원장 등 법조계와 공직 두루 거쳤다”면서 “어린 시절 부모 여윈 후 소년 가장으로 농사일 하면서도 세 동생의 생계와 진학을 홀로 책임지고 뒤늦게 대학에 진학한 후 법조인이 된 입지전적인 인물”이라고 치켜세웠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각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 충돌하는 현안이 산적해 있어 그 어느 때보다 공명정대한 업무처리가 필요한 시점”인데 “김홍일 후보자는 법과 원칙에 대한 확고한 소신과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는 균형 감각으로 방통위의 독립성과 공정성 지켜낼 적임자”라고 인사 이유를 밝혔다.
김홍일 후보자는 “제가 (국회 인사청문 등의) 절차를 거쳐서 임명이 된다면 국민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공정한 그리고 독립적인 방송통신위원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밖에 교육부 차관에는 오석환(59) 대통령실 교육비서관, 국가보훈부 차관에는 이희완(47) 해군대령이 각각 내정됐다.
이날 인사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방송 장악의 꿈을 절대 포기하지 않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선언”이라고 맹비난했다.
“김홍일 위원장은 윤 대통령의 검사 재직시절 직속상관으로서, 윤석열 대통령을 필두로 한 검찰판 하나회의 선배”이라며 “방송·통신 관련 커리어나 전문성이 전혀 없는 ‘특수통 검사’가 어떻게 미디어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간다는 말인가”라고 물었다.
권 대변인은 나아가 “‘내가 모르는 사람이어도 좋다’더니, 결국 도로 검사인가”면서 “5공 신군부가 정치군인들로 국가 요직을 독식했듯 대통령이 임명하는 모든 자리에 특수통 검사들로 채우려고 하는가”라고 쏘아붙였다.
정의당 강은미 원내대변인도 “검사 출신 방통위원장 지명은 법망을 피해 언론을 범죄자 다루듯 취조해서 무릎 꿇게 만들겠다는 것 아닌가”라고 비난했다.
“이동관을 꼼수 사퇴로 도피시킨 직후 지명한 인사의 면모를 보니 더 노골적 언론장악 의욕이 보인다”면서 “정의당은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윤석열 대통령의 언론장악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는 “언론장악 기술자도 모자라 이젠 언론말살 칼잡이인가”라고 개탄했다.
“온 국민이 반대한 반헌법, 반언론, 부도덕의 이동관 임명을 강행해 최단명 방통위원장을 만든 것으로도 모자라 또다시 사적 친분을 앞세운 정실인사로 검찰 출신 칼잡이를 방통위원장에게 앉히고, 백년대계인 방송통신 정책을 끝까지 망쳐 놓겠다는 당신들의 오만과 오기는 반드시 국민적 심판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또다시 싸움을 걸어 왔으니 언론노동자들은 우리의 존재 이유인 언론자유와 방송독립을 위해 결연히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