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후보자. [사진제공-대통령실]
최상목 경제부총리 후보자. [사진제공-대통령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4일 윤석열 대통령이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 후보자에 최상목(60) 전 대통령실 경제수석을 지명하는 등 6개 부처 개각을 단행했다. 

최 후보자에 대해,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정통 경제관료로서 경제수석비서관 했고 기재부 1차관 거치면서 거시금융 등 경제전반 걸쳐 해박한 지식과 통찰력 갖고 있는 경제정책분야 최고 전문가”라고 인선 이유를 밝혔다. 

“물가와 고용 등 당면한 경제 민생 챙기면서 경제의 근본적 체질개선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또한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강정애(66) 전 숙명여대 총장, 농림축수산부 장관 후보자 송미령(56) 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원장,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박상우(62) 전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강도형(53) 한국해양과학기술원장,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로 오영주(59) 외교부 2차관을 지명했다. 

현재 공석인 국가정보원장과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는 발표하지 않았다. ‘2030 엑스포’ 유치 실패로 책임론이 제기된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일단 유임됐다. 

야권은 이날 개각을 강하게 비난했다.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4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 나타나 “오늘 윤석열 대통령이 발표한 6개 부처 개각 인사는 총선 출마자들이 도망친 자리를 채우는 ‘도주 개각’”이라고 쏘아붙였다.

특히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된 최상목 경제수석을 경제부총리에 중용해 경제정책 전반을 맡기겠다니, 사람이 그렇게 없는가”면서 “윤석열 정부에 도덕적 결격 사유 따위는 중요하지 않고 오직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를 충직하게 이행하면 그만이라는 발상인가”라고 따졌다.

권 대변인은 “총선 출마자들이 도망친 자리를 채우기 위한 개각이라지만 급하게 자리를 채우려고 후보자의 전문성마저 무시했다”며 “외교부 관료 출신을 중기부 장관 후보자로 발탁하고, 경영학과 교수를 보훈부 장관으로 등용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의당 김희서 수석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이 신임 방통위원장으로 (검사 출신인)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을 내정했다는 복수의 보도가 나왔다”면서 “괴벨스가 물러난 자리에 SS친위대를 내세우며 전쟁을 계속하겠다는 패망 직전 독일을 보는 것 같다”고 비난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