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요소 수출 통제’에 나선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정부가 ‘제2의 요소수 대란’을 막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중국 통관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요소 수출을 돌연 막으며 국내 요소 시장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4일자 [매일경제] 기사에 대해, 이날 산업통상자원부가 “중국에서 차량용 요소의 수출 통관이 지연되고 있다는 내용을 기업으로부터 접수”했다고 확인했다.
정부는 지난주 관계부처 점검회의를 개최했고 외교 채널 등을 통해 중국 측과 소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재 민간 재고 및 정부 비축을 통해 국내에 적정 수준의 재고가 확보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차량용 요소 및 요소수 국내 재고, △베트남·일본 등 중국 외 국가로부터 수입 예정분을 합쳐 약 3개월 분량이라고 했다.
아울러 “정부는 우리 기업이 중국 기업과 기 체결한 계약 물량이 예정대로 도입될 수 있도록 중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할 예정”이고 “업계의 수입선 다변화 지원, 차량용 요소 정부비축 제고 등 국내 수요물량의 차질없는 확보 및 시장 안정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국이 요소 수출 통제에 나선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지난 3일 중국비료망(中肥网)에 따르면, 전문가인 탄쥔잉(谭俊英) 씨는 산시성 진청 지역 요소업체가 생산을 제한하는 등의 여파로 “12월 요소 수출이 잠정중단되고 내년 1분기까지 수출이 제한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요소 수출길 ‘막힘’ 조짐이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