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차 한일 외교차관 전략대화가 5일 오전 서울 외교부청사에서 개최돼 북한 핵문제 및 최근의 러‧북 동향 등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장호진 외교부 제1차관은 마사타카(岡野 正敬)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9년 만에 한일 차관전략대화를 갖고, 상호 관심사에 대해 폭넓고 심도있는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한일 양 차관은 “북한의 지속되는 핵·미사일 도발과 위협을 강력히 규탄하고, 한미일이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의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을 견인해 나가자”는 데 의견을 같이 하고,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한일간 협력이 긴밀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평가하고, 한미일 3국이 안보리 이사국으로 동시에 활동하게 되는 내년을 계기로 이러한 협력을 더욱 증진해 나가자”고 협의했다.
최근 우리 정부와 한미일 3국은 북한의 무력시위에 대한 마땅한 대응책을 찾지 못한 채 인권문제 이슈화에 공을 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장 차관은 9년 만의 차관전략대화 재개를 환영하고, 올해 3월 12년 만의 셔틀외교 복원을 비롯하여 각급에서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한일 관계 개선의 흐름이 공고화되는 시점에 미래지향적인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협력 심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게 되었음을 뜻깊게 평가했다.
오카노 차관은 양국이 양자관계 및 다양한 국제사회의 과제에 대해 파트너로서 협력해 나가야 할 ‘중요한 이웃국가’라고 하면서, 이번 차관전략대화가 한일관계를 한층 진전시키기 위한 외교당국간 폭넓은 논의의 기회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외교부는 “양 차관은 한일 간 주요 현안 및 상호 관심사에 대해 논의하고, 양국 관계 개선 모멘텀을 계속 이어나가기 위해 함께 노력해나가기로 했다”고 전했지만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금 문제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문제 등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논의 여부 등은 밝히지 않았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강제동원 관련 논의도 있었느냐?”는 질문에 “한일 간의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는 한국과의 관계 관리 차원에서 다 다루어질 수 있다고 보면 될 것 같다”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양국 차관은 지난주 한일중 고위급회의(SOM)에서 협의된 대로 3국 정부간 협력 재활성화를 위해 지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으며, △인태 전략/구상 △우크라이나 정세 △동아시아 정세 등에 대해서도 폭넓게 의견을 교환하고, 관련한 협력을 심화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박진 외교부 장관은 5일 오후 차관전략대화 이후 오카노 차관을 약 20분 간 접견하여 한일 외교당국 간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오카노 차관의 역할을 기대한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