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3일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발사장 운반로케트조립 및 시험종합체 건물앞에서 상봉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푸틴 대통령. [통일뉴스 자료사진]
지난달 13일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발사장 운반로케트조립 및 시험종합체 건물앞에서 상봉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푸틴 대통령. [통일뉴스 자료사진]

북한이 최근 심화되는 북러관계를 비판하는 미국에 대해 '한계를 넘은 불법무도한 적대감과 간섭기도'이며, '냉전식 대결논리에 쩌든 패권적 사고방식'이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지난달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에 동행한 임천일 외무성 부상은 1일 담화를 발표해 "최근 미국은 조로(북러) 두 나라사이의 선린우호관계발전을 유엔《결의위반》, 《국제법위반》으로 무근거하게 걸고들면서 조로협력이 세계평화와 안전에 대한 《위협》인듯이 세계여론을 오도하고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새로운 높은 단계에로 승화발전되고 있는 조로관계는 제국주의자들의 강권과 전횡, 군사적위협과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평화수호의 강력한 보루이며 전략적 지탱점"이라며, "미국과 서방의 패권적 진영대결소동이 극도에 다달은 속에 조로 두 나라사이의 선린우호관계가 새로운 발전고조국면을 맞이함으로써 국제력학구도의 평형성이 보장되고 세계의 전략적 안전환경도 일층 개선되였다"고 강조했다.

국제관계가 '신냉전'으로 접어들게 된 것은 '미국과 서방의 패권적 진영대결 소동'이라는 인식인 셈이다.

임 부상은 "미국의 궤변과 달리 점점 더 《위험해지는 관계》는 침략적이며 배타적인 성격을 더욱 뚜렷이 하며 자주적인 주권국가들의 안전환경을 항시적으로 위협하고있는 미국주도의 동맹관계"라고 하면서 '북중러에 적대적인 미일한 3각군사동맹'과 '우크라이나사태 발발 장본인인 나토'를 '국제질서를 위태롭게 하는 암적 존재이며 세계평화와 안전의 중대한 위협'이라고 공박했다.

그러면서 "조로관계에 대한 미국의 악의적인 거부감은 그들이 반제자주적인 나라들과의 대결에서 힘과 수가 딸린다는 것을 스스로 드러내보일 뿐"이라고 비아냥거렸다.

전날 최선희 외무상이 유엔안보리 비공개회의에서 북의 핵무력정책 헌법화와 반미연대 강화 등 대외관계 지향 등을 문제시한 것에 대해 반발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북러, 북중 관계 심화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읽힌다. 

북은 러시아,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 각각 '새로운 높은 단계에로 승화발전'되고 있으며, '새로운 역사적 시기에 접어들고 있다'고 자평하고 있다.

임 부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로씨야련방을 비롯한 자주적인 주권국가들과의 전통적인 친선협조관계를 가일층 확대발전시킴으로써 제국주의자들의 군사적위협과 도발, 강권과 전횡을 억제하고 조선반도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전을 굳건히 수호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