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이 5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노조 탄압으로 반짝 지지율 반등의 재미를 보더니, 이제 다음 차례는 시민단체 탄압인가”라고 쏘아붙였다.
4일 정부가 올해 4월까지 12,000여 민간단체 대상 최근 3년 간 지급된 보조금에 대해 감사한 결과 1,865건의 부정과 비리를 적발했다고 밝히고, 5일 윤석열 대통령이 “보조금 비리에 대한 단죄와 환수 조치를 철저히 하라”고 지시한 사실을 겨냥한 것이다.
강 대변인은 “블랙리스트와 화이트리스트를 만들어 친정권 관변단체를 키웠던 이명박·박근혜 정권을 뛰어넘어 반정부 시민단체를 말살하려는 것인가”라며,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흔들릴 때마다, 소위 ‘때려잡을 사람’부터 찾는 듯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군이 아니면 모두 적군이라는 흑백논리에 갇힌 ‘검사 윤석열’의 정치, 참 잔혹하다”며, “국정은 뒷전이고 권력 장악과 비판세력 탄압에만 골몰하고 있는데, 나라가 제대로 돌아가겠는가”라고 개탄했다.
이어 “모든 국민을 적아로 나누고 갈라치는 ‘검사 윤석열’ 식의 리더십이 대한민국을 병들게 하고 있다. 권위주의적 횡포에 당해 쓰러진 국민이 도처에서 신음 중”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이 독재정권의 후예를 자처한다면 정권의 몰락만 가속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의당 이재랑 대변인은 “부정 사용의 실태는 공분을 자아내기 충분하다”면서도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민간단체와 건강한 비판을 위한 시민단체를 한 데 묶어 매도하는 것은 파렴치하다”고 비판했다. “어김없이 등장하는 ‘문재인 정부 탓’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그는 “부정을 단속하고 자율적인 투명성 확보를 유도해야 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나, 정부는 자꾸만 불순한 정치적 의도를 섞고 있다”면서 “모든 시민단체를 부정의 온상으로 왜곡하는 것은 ‘노조 때리기’에서도 이미 드러난 수법”이라고 지적했다.
“노조 때리기에 이은 ‘시민단체 때리기’로 이어질까 우려된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