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오는 7월까지 '신통일미래구상'을 위한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효정 부대변인이 19일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소식을 전하는 이효정 부대변인 [사진-정부 e브리핑 갈무리]
통일부가 오는 7월까지 '신통일미래구상'을 위한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효정 부대변인이 19일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소식을 전하는 이효정 부대변인 [사진-정부 e브리핑 갈무리]

통일부가 '신통일미래구상'을 위한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한다.

이효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19일 정례브리핑에서 "통일부와 통일미래기획위원회는 5월 23일 '2023 청년대화'를 시작으로 통일교육 선도대학 특강 및 의견 수렴, 각계 간담회, 전문가 대화 등 다양한 의견 수렴 행사를 진행하고 보다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공모전, 여론 설문조사도 진행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국민 의견 수렴은 7월까지 20여 개 대면 및 비대면 행사를 통해 연 인원 5,000여 명 이상의 목소리를 듣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다고 말했다.

해외 한반도 문제 전문가와 주한 외교단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의견도 폭넓게 수렴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중장기 통일구상과 전략방향을 정립한다는 목표아래 준비중인 '신통일미래구상'의 성격상 필수불가결한 사회 내부의 이견 해소를 위한 모색이 분명치 않고, 통일의 주체이자 상대인 북측과의 합의 이행과 발전을 위한 방안도 언급되지 않아 의견수렴이 요식절차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 

이 부대변인은 "통일부와 통일미래기획위원회는 국내외 의견 수렴 결과와 각 관계부처 의견을 바탕으로 신통일미래구상안을 성안하여 연내 적절한 계기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 2월 28일 중장기 통일구상과 전략방향 정립을 위한 '통일미래기획위원회'를 통일부장관 자문기구로 신설했다. 산하에 △정치‧군사 △경제 △사회문화 △인도‧인권 △국제협력 등 5개 분과위원회를 두고 총 35명의 위원이 활동하고 있다. 

지난 3월 15일 첫 전체회의 이후 5월 1일까지 분과위원회 1, 2차 회의와 특별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위원 개인별 서면자문을 실시했으며, 5월 3일 통일미래기획위원회가 마련한 '신통일미래구상' 초안을 논의한 뒤 △청년대화 △전문가대화 △각계 간담회 △통일미래 공모전 등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