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년 만에 열린다며 나름 의미를 부여했던 ‘제12차 한일 안보정책협의회’가 17일 서울 외교부청사에서 개최됐지만 뚜렷한 회의 결과를 내놓지 못 했다.
외교부는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3.16일 한일 정상회담 결과 후속 조치로서 약 5년 만에 개최된 금번 협의회에서 양측은 북핵 문제를 포함한 동북아 안보 환경, 양국 외교·국방 정책 협력 현황 및 한일·한미일 협력 현황 등에 대해 폭넓고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하였다”고 전했다.
또한 “양측은 금번 한일 안보정책협의회를 통해 양국 외교안보 당국 간 동북아 안보 환경에 대한 인식을 공유함과 동시에 상대국 국방·안보 정책에 대해 상호 이해를 제고하고 한일간 안보협력을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의견을 같이하였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나오지 않았다.
한일 안보정책협의회는 1998년 제1차 회의 이후 2018년까지 11차례 개최됐고, 한일관계 악화로 중단됐다가 지난달 16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국간 다양한 협의체들을 조속히 복원키로 합의한데 따라 이번에 열리게 됐다.
오늘 ‘제12차 한일 안보정책협의회’에 우리측은 서민정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과 우경석 국방부 국제정책차장 등 외교부 및 국방부 관계자가, 일본측은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 健裕)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과 안도 아츠시(安藤 敦史) 방위성 방위정책차장 등 외무성 및 방위성 관계자가 참석했다.
앞서, 외교부는 이번 협의회에서 △동북아 및 한반도 안보환경, △양국 국방⸱안보 정책 및 협력 현황, △향후 양국 국방·안보협력 추진방향 등 상호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예고했고, 북한의 군사행동에 대한 공조 방안이나 한일 간 상호군수지원협정(ACSA) 문제 등이 논의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북한 문제 포함해서 의견을 나눴을 것”이라며 “보도자료에 담기는 어려워도 의미가 없는 건 아니다”고만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