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5주년 제주 4·3’을 맞아 야당과 사회단체들이 정부·여당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성준 대변인은 2일 오후 국회소통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이 내일 정부 출범 후 처음 열리는 4.3 추념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면서 “어제 윤석열 대통령은 대구 서문시장을 방문하고 야구 경기장에서 시구를 했다. 어제 대구는 괜찮고 내일 제주는 안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꼬집었다.
“대선 후보 시절 제주도민이 실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한 것은 윤석열 대통령 본인”임에도 “후보 시절 제주의 아픔을 강조하던 대통령이 이제와서 제주 도민을 외면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박 대변인은 “김기현 대표 등 여당 주요 관계자들 모두 4.3 추념식에 불참한다고 한다. 선거 때 마르고 닳도록 제주의 아픔을 닦아드리고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해놓고 추념식 참석조차 외면하니 기가 막힌다”고 질타했다.
“역사적 평가가 끝난 제주 4.3을 공산주의 세력의 반란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진실화해위 위원장을 맡고, 김일성의 지시라고 주장한 사람은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되었다”면서 “제주의 아픔에 소금을 뿌리는 것이 지금 윤석열 정부와 여당”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은 3일 오전 제주에서 이재명 대표가 주재하는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었다.
3일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평화의 섬 제주에 이념의 광기로 학살을 자행한 세력은 미국도 북한도 아닌 바로 대한민국 정부였다. 그런데 70년 전 불어닥친 이념의 광기가 다시금 부활해 제주도민들을 할퀴고 있다”고 비판했다.
“4.3 학살자들의 이름, ‘서북청년단’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 단체가 제주도 곳곳에 모여 희생자들을 조롱하고 다닌다”면서 “이런 어처구니없는 불상사를 조장한 것은 바로 국민의힘”이라고 지적했다.
“‘제주 4.3은 북한의 지시’라는 망언으로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된 태영호 의원과 색깔론으로 과거사를 먹칠하는 김광동 진실화해위원장이 떳떳이 고개 들고 이 사달을 조장하는 것”이라며 “대선 당시 제주도민에게 ‘유가족과 도민들을 실망시키지 않겠다’던 윤석열 대통령의 약속은 단지 표를 구하기 위한 사탕발림이었다는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3일 성명을 통해 “4.3 항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주장했다. “2014년 4.3 민중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진실의 규명, 희생자와 남은 이들에 대한 명예회복의 길이 열리는 듯 싶었”으나, “윤석열 정부 1년도 채 지나지 않은 지금, 그간 우리 사회가 합의하고 이룩한 모든 과정이 부정당하고 있다”는 것.
나아가 “1947년 그날은 2023년의 오늘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여전히 민중들의 고통은 나아지지 않았고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과 위기의 정세는 그대로다. 살인적인 물가 폭등으로 민생은 파탄 났고 (...) 이에 저항하는 노동자, 민중에는 예외 없이 공안기구와 국가보안법을 앞세운 색깔론과 탄압이 여전하다.”
한편, 3일 ‘제주 4·3 추념식’에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정부 대표로 참석한다.
2일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 해에는 총리가 참석하기로 하셨고,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함께 참석할 예정”이라며 “(한덕수) 총리가 추념사에서 내놓을 메시지는 윤석열정부의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3일 대통령이 공식 일정도 없는 데 왜 제주에 가지 않느냐’는 지적에는 “작년에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을 했고, 같은 행사에 매년 가는지가 적절한지 늘 행사를 기획하면서 고민이 있다”며 “올해는 총리가 가시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을 내렸다”고 피해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