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야권이 전날 윤석열 대통령의 ‘제104주년 3·1절 기념사’를 융단폭격했다.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조선이 식민지가 된 것은 구한국이 힘이 없었기 때문이며, 세계적 대세에 순응하기 위한 유일한 활로”라는 말과 “우리가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다”는 말 사이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지적했다.
전자는 ‘3.1운동’이 진행 중이던 1919년 5월 매국노 이완용이 한 말이고, 후자는 ‘제104주년 3·1절’에 윤 대통령이 전한 기념사다.
박 원내대표는 “모두 일제의 강점과 지배를 합리화시키는 식민사관”이라며 “일제의 식민 지배에 전 국민이 항거한 날,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명시된 숭고한 항쟁의 정신과 건국 이념을 부정하는 대통령의 기념사였다”고 질타했다.
그는 “윤 대통령은 또한 ‘일본은 과거의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협력 파트너가 되었다’고 선언했”으나,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선결 과제가 있다”고 선을 그었다.
“3.1절을 맞는 어제까지도 여전히 일본 정부의 사과와 반성은 없었다. 청산되지 않은 과거사에 대한 해법은 그 어디에도 없는데, 이 사실을 윤석열 정부만 필사적으로 모른척하며 협력 파트너 운운하고 있는 것인가.”
박 원내대표는 “결국 기념사를 통해 윤석열 정부의 대일본 굴종 외교만 재확인한 셈”이라며, “윤 대통령의 굴종적 인식과 저자세는 국익은 물론 그토록 부르짖는 한일관계의 정상화와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에도 방해만 될 뿐”이라고 했다.
특히 “3.1절인 어제 우리나라 행정수도 세종시 한복판에 일장기가 게양되는 어이없는 사건까지 벌어졌다”면서 “대통령의 잘못된 역사 인식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 수 있는 단면”이라고 성토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도 2일 “대통령 3.1절을 기념사를 듣는 내내 귀를 의심하게 했다”고 밝혔다.
“정부의 강제징용 졸속 합의에 반대한 양금덕 할머니와 피해자들의 절절한 외침은 사라지고, ‘못나서 지배당할 수밖에 없었던’ 국민들과 ‘이제는 협력하는 파트너’ 일본만이 남았다”면서 “통치자의 역사인식이 비뚤어지면, 외교전략도 파탄난다는 사실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미래지향적 한일관계의 시작은 일본 스스로 과거사에 대한 철저한 성찰과 반성에서 시작되어야” 하는데 “윤대통령은 일본의 재무장화를 옹호하고 신냉전 구도를 가속화할 한미일 군사협력 체제를 강화하자고 주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역사인식이 비어 있는 대통령이 위험천만한 대일전략으로 한반도를 위기의 한복판으로 끌고 가는 것”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의 ‘3.1정신 없는’ 3.1절 연설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쏘아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