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조사의 차질 없는 진행과 성역 없는 철저한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의 조속한 실시를 촉구한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이하 유가족협의회) 이종철 대표가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지난 11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해임건의안이 국회를 통과하자 국민의힘 국정조사 위원 7명 전원이 사퇴를 선언하였고 16일로 예정되던 국정조사가 파행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나아가 국정조사에서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넘어 △참사 발생의 구조적 원인, △참사 이후 정부가 유가족들에 가한 2차 가해까지 밝혀서 재발방지와 안전대책까지 세워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종철 대표는 “법적 책임과 행정적 책임까지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성역없이 충분한 기간을 가지고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유가족협의회 이정민 부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출처-시민대책회의]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유가족협의회 이정민 부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출처-시민대책회의]

이정민 부대표는 “권성동 의원 등 정부·여당의 유가족에 대한 발언 및 처우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권성동 의원의 ‘세월호의 길을 가지 말라’거나 이태원 유가족들의 슬픔과 아픔을 ‘정쟁’이라고 표현하는 것에 대해 깊은 분노를 금치 못하겠다. 도움이 절실하고 힘도 없는 유가족들을 왜 자꾸 반정부세력처럼 몰아가는지 정말 이해할 수가 없다.” 

그는 “정부의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에 진심어린 사과를 하고 유가족들끼리 서로를 위로하고 치유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것과 온전한 추모를 받고자 하는 유가족들의 단순한 요구가 그렇게 정부에 부담을 주는 무리한 요구인지 묻고 싶다”고 꼬집었다.

‘압사사고 이후에 마약이나 독극물 등 다른 사인이 있을 수 있다’는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의 망언, ‘다 큰 자식이 놀러가는 것을 부모가 못 말려 놓고 왜 정부에게 책임을 떠넘기는가’는 김성회 전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의 막말 등도 거론했다. 

이정민 부대표는 이어 “국민의힘에는 공식적인 면담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공문을 발송할테니 최근의 이 막말들이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이라면 한분도 빠짐없이 면담에 임하셔서 그 입장을 우리 유가족들에게 직접 전해주기 바란다.”

유가족협의회는 참사 49일째인 오는 16일 저녁 6시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3번 출구에서 시민들과 함께 추모제를 개최한다고 예고했다. 

추모제의 제목은 “우리를 기억해주세요”다. 

유가족협의회는 “진정으로 위로가 될 수 있는 제대로 된 추모를 하려 한다. 사회적으로 사진과 이름을 공개할 마음이 있는 유가족들이 시민분향소를 설치하고 추모제를 통해 시민들과 함께 슬픔을 나누고자 한다”면서 “많은 분들과 함께 하고 싶다”고 호소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진선미, 장혜영, 용혜인 의원의 소개로 유가족협의회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시민대책회의)가 공동 개최했다. 13일 현재 유가족협의회에는 희생자 100명의 유가족 176명이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