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현지시각) 미국 하와이에서 모인 한미일 안보실장들이 한 목소리로 ‘3국 간 공조 강화’를 외쳤으나, 강조하려는 부분은 달랐다.
대통령실은 2일 보도자료를 통해, 김성한 국가안보실장과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좌관, 아키바 다케오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 간 3자 협의에서 “한반도와 역내 평화 안정에 기여하기 위한 3국 간 공조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미 양자협의에서, 김 실장은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 관해 설명하고 이를 실행하는 데서 협력 방안을 협의했으며, 한일 양자협의에서도 ‘담대한 구상’ 관련해 일본 측의 협조를 당부했다는 것.
‘3국 공조 강화’의 목적이 북핵 대응에 있음을 나타내려 한 셈이다.
그러나, 이번 회의 주최국인 미국의 눈은 북한이 아닌 중국으로 쏠렸다.
에이드리엔 왓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지난달 30일 성명을 통해 회의 장소가 인도태평양사령부임을 새기면서,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수호하기 위한 우리의 동맹들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은 미국 안보기구들이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쓰는 상투적 표현이다. 미국은 중국에 맞선 한미일 공조를 드러내려 한 것이다.
특히, 3국 안보실장 회의가 열린 1일 러시아가 시베리아 동부에서 다국적 군사연습 ‘보스토크 2022’를 시작했다. 이 기간 중·러 해군이 동해상에서 연합 훈련을 벌일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본 측이 크게 우려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을 둘러싼 한·미의 입장도 좁혀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설리번 보좌관을 만난 김성한 실장이 “IRA와 반도체과학법 관련 우리 업계의 우려를 전달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미국 NSC 차원의 적극적 협조와 관심을 당부했다”고 알렸다.
그러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일 ‘미국 내 제조 관련 성명’에서 “미래에 우리는 전기자동차(EVs), 반도체, 광섬유, 다른 중요한 부품들을 미국에서 만들 것이고, 아래에서 위로 그리고 중간에서 구축된 경제를 만들 것”이라고 확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