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석달이 채 되지 않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지지율)가 20%대로 추락했다.
29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26~28일 만 18세 이상 1,000명에게 ‘윤석열 대통령이 현재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물은 결과, 28%가 긍정 평가했다. 무려 62%가 부정 평가했으며 그 외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3%, 모름/응답거절 8%).
지난주 대비 긍정평가가 4%p 떨어졌고, 부정평가는 2%p 올라갔다.
부정 평가자(598명, 자유응답)는 ‘인사(人事)’(21%), ‘경험·자질 부족/무능함’, ‘경제·민생 살피지 않음’, ‘독단적/일방적’(이상 8%) 등을 지적했다. 긍정 평가자(276명, 자유응답)는 ‘공정/정의/원칙’(9%), ‘주관/소신’, ‘경제/민생’, ‘전 정권 극복(이상 6%) 등을 들었다.
대구·경북을 포함한 모든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압도했으며, 7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부정평가가 크게 앞섰다.
[한국갤럽]은 “이번 주 대통령 직무 부정 평가 이유로는 경찰국 신설, 권성동 원내대표와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 노출로 증폭된 여당 내 갈등이 새로이 포함됐다”고 지적했다.
정당 지지도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7월 넷째 주(26~28일) 현재 지지하는 정당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36%였다. 지난 주 대비 민주당이 3%p 오른 반면 국민의힘은 3%p 떨어졌다. 지지하는 정당 없는 무당층은 23%, 정의당이 4%였다.
[한국갤럽]은 “양당 지지도 동률 기록은 현 정부 출범 후 처음”이라고 밝혔다.
무선(90%)·유선(10%)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된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3.1%p(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1.1%(총 통화 9,005명 중 1,000명 응답 완료).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한편, ‘내부총질’ 문자 노출 직후인 27일부터 윤 대통령은 용산 청사 ‘출근길 문답’을 건너뛰었다. ‘제4차 비상경제민생회의’(7.27, 성남), ‘정조대왕함 진수식’(7.28, 울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7.29, 광화문 청사) 등 외부 일정 핑계를 댔다. 다음주에는 여름 휴가를 떠난다.
29일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지율이 올라가든 내려가든 저희가 일희일비하지 않고 국민만 보고 열심히 일한다는 말씀을 반복적으로 드렸는데, 그 이야기는 어찌되었든 저희가 지금 이 시점에서 무엇을 해야 되는지를 찾아서 더 열심히 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지지율이 오르고 내리는데는 굉장히 복합적인 이유가 있다. 그래서 저희도 그 의미에 대해서 하나하나 생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아마 더 잘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겠죠. 그런 방법들도 참모들은 모두 생각을 하고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다만 대통령을 비롯해서 대통령실 모든 사람들은 지지율을 올리기 위해서 무엇을 한다던가 지지율이 떨어졌으니 이것을 해본다든가 그렇게 생각하기보다는, 저희가 당초 하려고 했던 것들, 더 잘하고자 했던 것들을 찾아서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라며, 그러다보면 국민들도 ‘진정성’을 알아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야권은 윤 대통령과 정부의 상황 인식을 강하게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대변인은 “여론조사 결과는 윤석열 정부에 제기되는 인사 참사, 사적 채용 비리, 비선 논란, 자질 부족과 무능함에 대한 차갑게 식어 가는 국민의 마음”인데 “국민의 목소리는 외면한 채 당내 정치에 개입한 대통령은 윤핵관과의 돈독한 관계만 과시했다”고 질타했다.
전날 윤 대통령이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에게 “그것(‘내부총질’ 문자) 때문에 며칠 혼났겠네”라고 말했다는 보도를 거론하면서 “남의 일 얘기하듯 권성동 직무대행을 위로하며 얼렁뚱땅 넘어가려는 대통령의 모습이 황당하다”고 꼬집었다.
정의당 이동영 대변인은 “(지지율 추락) 원인은 윤석열 대통령 스스로에게서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관 인사 실패에 이은 극우 유투버, 친족, 지인 등 대통령실 사적채용 논란, 김건희 여사 비선 보좌 논란, 그리고 최근 ‘국회 패싱’으로 검찰 인사검증단과 경찰국 신설을 밀어붙이는 ‘시행령 통치’ 고집과 문자 파동까지 온통 국민 불신과 우려만 키워 왔을 뿐이다.”
그는 “이쯤 됐으면 야당의 지적에 귀 기울이고, 서민과 약자들의 삶에 눈을 돌리시기 바란다”고 했다. 아울러 “강자만을 위한 ‘법치’가 아니라 약자를 위한 ‘정치’, 국회와 야당을 존중하는 ‘협치’로 국정 운영 기조와 태도를 바꾸시라”고 충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