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기간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의미 있는 만남’을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출범 직후 과하다 싶을 정도로 한일관계 개선에 의욕을 보이며, 이른 시기에 기시다 총리와의 공식회담까지 희망했던 윤 대통령의 구상이 꼬인 셈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26일 오후 ‘나토 정상회의 관련 브리핑’에서 “아마 (한일정상회담이) 열릴 확률이 희박할 것”이라고 토로했다. “한일 ‘풀 어사이드 회담’(주-다른 회의 계기에 잠깐 만나 얘기하는 형식)은 개최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아무리 서서 얘기해도 얘기할 주제가 있어야 한다”면서 “그런데 일본 참의원 선거 이전에 과거사 문제를 포함해서 한일 간 풀어야 될 문제에 대해서 한국과 일본이 구체적인 얘기를 나눠본 적이 아직 없다”고 말했다.
“서로 잘해보자는 얘기만 했기 때문에 갑자기 옆에서 서서 만났을 때 무슨 얘기를 시작했을 때 언론한테 대답할 것이 있어야 할 것 아니에요? 대답할 게 없으면 안 하는 게 좋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일본 측은 한일 정상회담을 ‘강제징용판결’과 사실상 연계하고 있다. 일본은 이 판결을 빌미로 수출규제를 가했고, 한국은 ‘한일 군사정보호협정 효력 종료’로 맞섰다. 현재는 미국의 중재로 ‘종료 유보’ 상태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나토 정상회의, 인도-태평양 4개 파트너국(한·일·호주·뉴질랜드) 정상회의, 한·미·일 정상회의 때 “여전히 3번 이상 (한·일 정상이) 회동 가능하다”고 했다.
그는 또한 “6월 29일 김포-하네다 노선이 재개되면 일단 민간 교류가 다시 재개되고, 7월 일본 선거 이후에 미루어져 왔던 한일 외교장관 회담 논의가 다시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 이후에 실무 레벨 간에 강제징용 문제를 포함해서 한일 현안을 풀어가고 협의하는 모멘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또 그 이후에 중단 돼 있는 한일 셔틀 정상외교가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그래서 현재 나토 회의에서 한국과 일본이 단독으로, 적극적으로 얘기할 기회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것이 한일 간에 문제가 있다고 비춰지는 것에 대해서 저는 다른 견해가 있다”고 애써 강조했다.
올해 나토 정상회의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다. 윤 대통령은 27일 오후 3박 5일 일정으로 첫 해외 순방에 나선다. 김건희 여사도 동행한다. 29일 오후(현지시각) 한미일 정상회담이 예정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