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저녁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를 찾은 한.미 정상. [사진제공-대통령실]
20일 저녁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를 찾은 한.미 정상. [사진제공-대통령실]

20일 저녁 경기도 평택에 있는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를 방문한 한·미 정상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공급망 협력’을 강조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소개로 연단에 오른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바이든 대통령의 평택 캠퍼스 방문은 반도체가 갖는 경제·안보적 의미는 물론, 반도체를 통한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작년 말 출범한 ‘한·미 반도체 파트너십 대화’를 통해 반도체 공급망 협력은 물론, 투자·인력·기술 협력사업도 진행되고 있다”며, “저는 반도체가 우리 미래를 책임질 국가안보 자산이라고 생각하면서 과감한 인센티브와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께서도 우리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투자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할 뿐 아니라 미국의 첨단 소재·장비·설계 기업들의 한국 투자에도 큰 관심을 가져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바이든 대통령께서 한국 반도체의 심장인 평택 캠퍼스에 방문해 주셔서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린다”며, “오늘 방문을 계기로 한·미 관계가 첨단기술과 공급망 협력에 기반한 경제 안보 동맹으로 거듭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연설하는 한.미 정상. [사진제공-대통령실]
연설하는 한.미 정상. [사진제공-대통령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5월 삼성이 텍사스주 테일러시 파운드리공장 설립에 170억 달러를 투자한데 대해 사의를 표했다. 아울러 삼성이 스텔란티스사와 전기차 배터리 관련 합작투자를 결정한 데 대해서도 평가했다.

그는 코로나19로 인해 ‘적시생산’의 취약성이 드러나 “국제적인 반도체 부족 사태로 인해서 소비자 제품, 특히 자동차 물량 부족이 야기되었고, 이로 인해서 전 세계는 물가 상승에 시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지금은 푸틴의 잔혹한 우크라이나 침공을 통해서 주요 공급망 확보의 필요성이 한층 부각되었다”며, “이것이 확보되어야 우리의 경제적‧국가적 안보가 우리의 가치를 공유하지 않는 국가들에 좌우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우리의 가치를 공유하는 가까운 파트너들, 즉 한국과 같은 국가들과 협력해서 필요로 하는 더 많은 것들을 동맹 및 파트너들로부터 수급받고, 공급망 회복력을 높이는 것”이라며 “그래서 나는 이번 아시아 첫 순방에서 한국을 방문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21일 오후 서울 용산청사 집무실에서 회담을 갖고 △한반도 문제, △경제안보 문제, △아태지역 내 협력과 글로벌 이슈 협력 문제를 논의한다. 이어 공동기자회견에서 결과를 발표한 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찬을 함께 한다.

한편, 19일 저녁 서울 용산구 하얏트호텔 앞에서 술에 취한 미국 대통령 경호국(SS) 직원 2명이 한국인 2명을 폭행해 경찰 조사를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하얏트호텔은 바이든 대통령이 방한기간 묵을 숙소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