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는 문 대통령. [사진제공-청와대]
지난 14일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는 문 대통령. [사진제공-청와대]

16일 오찬회동 취소로 ‘신·구 권력 갈등설’이 불거진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윤석열 당선인과 빠른 시일 내에 격의 없이 허심탄회하게 대화하는 자리를 갖는 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밝혔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문 대통령은 “무슨 조율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청와대의 문은 늘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실무 협의에 상관없이 만나자는 것인가 아니면 실무 협의를 빨리해 달라는 취지인가’ 질문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양쪽 다 해당될 것 같고,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이 긴밀하게 협의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또한 “당선인 측의 공약이나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해 개별적인 의사 표현은 하지 말 것”을 참모들에게 지시했다.

유영민 비서실장도 전날(17일) 청와대 직원들에게 “당선인 측의 공약이나 정책,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하여 SNS 또는 언론에 개인적인 의견을 올리거나 언급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공지한 것으로 밝혀졌다.

17일 탁현민 의전비서관은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여기 안 쓸 거면 우리가 그냥 쓰면 안 되나 묻고 싶다”며 “좋은 사람들과 모여서 잘 관리할 테니”라고 윤 당선인 측의 청와대 이전 움직임을 꼬집은 바 있다.

한편, 윤 당선인 측 김은혜 대변인은 18일 “국민 보시기에 바람직한 결과를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은 청와대 만남과 관련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