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이 15일 저녁 기시다 신임 일본 총리와 첫 전화통화를 실시했다. [사진제공-청와대]
문 대통령이 15일 저녁 기시다 신임 일본 총리와 첫 전화통화를 실시했다. [사진제공-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저녁 6시40분부터 약 30분간 기시다 후미오 신임 일본 총리와 첫 전화통화를 실시했다. 강제징용·‘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에서 평행선을 달렸으나 대북 대응에서는 협력하기로 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한일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가치를 공유하는 가장 가까운 이웃 국가로서, 동북아 지역을 넘어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도 함께 협력해야 할 동반자라고 생각한다”면서, “한반도 문제 이외에도 코로나 위기와 기후변화 대응, 글로벌 공급망 문제 등 새로운 도전과제에 맞서 양국이 함께 대응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희망이 있는 미래로 열어가기 위해서는 양국 간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취임 축하에 사의를 표하고 “엄중한 안보 상황 하에 한일, 한미일 공조가 중요하다”면서 “한일 양국을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발전시키자는 문 대통령의 말씀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일본 총리실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구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 그리고 ‘위안부’ 문제 등으로 인해 한일관계가 계속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며, 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입각해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강력히 요구했다. 

문 대통령은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의 적용 범위에 대한 법적 해석에 차이가 있는 문제”라면서 “양국 간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며, 외교당국 간 협의와 소통을 가속화하자”고 촉구했다고 박 대변인이 전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피해자 분들이 납득하면서도 외교 관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이며, 생존해 있는 피해자 할머니가 열세 분이므로 양국이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고 문 대통령이 강조했다.

일본 총리실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지역의 엄혹한 안전보장 환경 하에서 대북 대응을 비롯한 한일, 일미한의 연계를 더욱 심화시켜 나가기로 문 대통령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납치’ 문제에 대해 기시다 총리가 지지·협력을 구했고 문대통령이 지지 입장을 거듭 밝혔다. 

문 대통령은 양국 국민들 간의 긴밀한 교류는 한일관계 발전의 기반이자 든든한 버팀목이라며, 특별입국절차 재개 등으로 양국간 인적 교류를 다시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고 박 대변인이 전했다. 기시다 총리는 코로나 대응 및 한일 간 왕래 회복 등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와 자주 소통할 수 있기를 바라며, 직접 만나 양국 관계 발전 방향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양국 정상 간 허심탄회한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는 데 공감을 표했다.

일본 총리실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한일 양국 간에는 어려운 문제도 존재하지만, 한일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또한 “한일 간의 의사소통, 이것은 확실히 계속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다만 대면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15일 번스 미 CIA국장을 접견했다. [사진제공-청와대]
문 대통령이 15일 번스 미 CIA국장을 접견했다. [사진제공-청와대]

이에 앞서, 문 대통령은 윌리엄 번스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장을 접견하고 “한미 정보협력 강화 및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해 폭넓고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고 박경미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양국 간의 긴밀한 정보협력은 굳건한 한미동맹을 지탱하는 힘”이라며 “국제범죄, 테러, 반확산, 사이버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정보협력이 더욱 심화 발전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한미동맹은 우리 안보의 근간”이라며 “향후 긴밀한 정보협력을 바탕으로 양국 간 협력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해 달라”고 당부하자, 번스 국장은 “한미동맹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데 역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