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21일 백악관에서 만난다.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30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미국 워싱턴을 방문하여 오는 5월 21일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대면 정상회담이 조기에 개최되는 것은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며 “양 정상은 이번 회담을 통해서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재확인하고, 양 정상과 국민들 간 우정을 바탕으로 양국 간의 포괄적이고 호혜적인 협력 관계를 확대·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만호 수석은 “이번 회담에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정착의 진전을 위한 한미 간의 긴밀한 공조 방안을 비롯해서 경제·통상 등 실질 협력과 기후변화, 코로나19 등 글로벌 도전과제에 대한 대응 협력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도 29일(현지시각) 성명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은 5월 21일 한국 문재인 대통령을 백악관에서 맞이하길 고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문 대통령의 이번 방문으로 철통 같은 한미동맹과 두 정부, 국민, 경제 간의 넓고도 깊은 관계가 부각될 것”이라며, “바이든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 협력해 동맹을 더 강화하고 긴밀한 협력을 확대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알렸다. 

30일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쿼드(미·일·호주·인도 4개국 비공식 협의체)와 관련해서 정상회담 의제로 정해졌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그는 “양국 간에 의제에 대해 현재 논의 중이고, 쿼드에 대해서 여러 차례 말씀을 드렸지만 개방성, 포용성, 투명성 등 우리의 협력 원칙에 부합하고, 또 국익과 지역, 글로벌 평화ㆍ협력ㆍ번영에 기여한다면 어떠한 협의체와도 협력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견지해 오고 있다”고 되풀이했다. 

지난 16일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문 대통령 방미가 이루어지는 시점에는 대북 정책 검토 발표에 즈음할 때가 될 것”이고 “대북 정책 검토 과정은 물론이고, 이행 과정에서도 공동 전략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