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이) 하루빨리 마주 앉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5월 후반기에 미국방문을 앞둔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공개된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바이든 대통령께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실제적이고 불가역적인 진전을 이룬 그런 역사적인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다”면서 이같이 촉구했다.
특히, 전략경쟁 중인 미국과 중국이 북한 문제 등에서 협력하길 희망했다. “만약 미중간의 갈등이 격화된다면 북한이 그런 갈등을 유리하게 활용하거나 이용하려고 할 수도 있다”는 인식도 내비쳤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톱다운’을 선호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달리 ‘바텀업’으로 회귀할 것으로 보이는 바이든 정부가 2016년 6월 ‘북미 싱가포르 공동성명’에 토대해서 동시적·단계적 접근방식을 택하길 희망했다.
북한 측이 이미 폭파한 풍계리 핵실험장, 해체 의사를 밝힌 서해 위성발사장에 더해 영변 핵시설 폐기와 미국의 상응조치가 교환되면서 신뢰가 쌓이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같이 북한에게 더욱 소중한 자산들의 제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
문 대통령은 “하노이 회담에서 북미 양국이 실패를 경험한 바 있기 때문에 실패 토대 위에서 서로 보다 현실적인 방안을 머리를 맞대고 찾아 나간다면 나는 양측이 해법이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스>가 전했다.
한편, 21일 청와대 오찬 간담회에서 문 대통령과 오세훈 서울시장 사이에 북한의 도쿄올림픽 불참과 2032년 서울-평양 공동올림픽 개최 추진 문제가 논의됐다.
청와대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오 시장이 ‘2032년 올림픽 개최지로 호주 브리즈번이 유력하다는 보도인데 서울이 포기해야 하느냐’고 묻자 문 대통령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직 포기하기에는 이르다”고 대답했다.
“바흐 IOC 위원장 생각은 북한이 (도쿄올림픽에) 불참한다고 했지만 북한의 그간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막판까지 기다려 봐야 되는 것 아니냐 (...) 아직까지는 북한의 최종 선택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좋겠다. 북한이 도쿄올림픽 참여하면 모멘텀이 생길 수도 있고, 서울-평양 공동 주최도 여지가 남아 있어서 현재로서는 경합 상태인 것으로 이해해 주면 좋겠다”고 했다.
오 시장이 “지금 순서가 아시아 순서이니 서울이 단독이라도 개최를 추진하면 어떻겠느냐”라고 하자, 문 대통령은 “(공동개최가) 안 되면 서울 유치하고, 그 이후에 평양을 설득해서 공동 개최하는 것도 검토 가능한 방안”이라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