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대 미국 국무장관이 된 토니 블링컨이 26일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출처 - 미국 국무부 홈페이지]
토니 블링컨 71대 미국 국무장관이 26일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출처 - 미국 국무부 홈페이지]

토니 블링컨 (Tony Blinken) 미국 국무장관이 공식 취임하자 외교부는 27일 즉각 환영 논평을 냈다.

외교부는 대변인 논평을 통해 “우리 정부는 1월 26일(현지시간)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의회 인준을 마치고 공식 취임한 것을 환영한다”며 “우리 정부는 한미관계와 한반도 문제에 대한 이해가 깊고, 풍부한 경험과 탁월한 리더십을 갖춘 블링컨 국무장관 취임을 계기로 한미 동맹이 더욱 굳건히 발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미국 상원은 26일 조 바이든 행정부의 초대 국무장관으로 지명된 블링컨에 대한 인준 동의안을 찬성 78표, 반대 22표로 가결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전임 장관에 이어 71대 국무장관이다.

‘바이든의 복심’이라 불릴만한 블링컨 신임 국무장관은 오바마 정부 시기 바이든 당시 부통령의 국가안보 보좌관을 맡았고, 2기 오바마 정부 때는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을 거쳐 국무부 부장관을 역임한 외교안보통이다. 지난해 대선에서 바이든 캠프의 외교안보 정책 수립을 주도하기도 했다.

오바 정부 시기 대북정책은 ‘전략적 인내’로, 대북제재의 울타리에 북한을 가둬두고 북한의 변화를 기다렸지만 그 기간 동안 북한은 자력갱생 노선을 견지하면서 핵무력을 강화한 결과를 가져왔다.

블링컨 지명자는 상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전반적인 북한에 대한 접근법과 정책을 재검토해야 하며, 그렇게 할 의향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북미정상회담 중심의 ‘탑-다운’ 방식보다는 ‘바텀-업’ 방식을, 북미 일변도 보다는 동맹과 다자주의를 중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한 블링컨 신임 장관은 과거 인터뷰에서는 “바이든 정부는 북한 핵 문제 해결을 노력하는 동시에 안보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인도주의적 측면도 동등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해 ‘북한 인권’ 문제가 부각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일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을 외교부 장관으로 지명해 조만간 국회 청문회가 열릴 예정이다.

외교안보 베테랑인 블링컨 장관과 정의용 장관이 전시작전권 전환이나 한미방위비특별협정 협상 등 양국 현안과 한반도 평화 문제를 원만하게 풀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외교안보부터 업부모고를 받으며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오랜 교착상태를 하루속히 끝내고 북미 대화와 남북 대화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여 평화의 시계가 다시 움직여 나가도록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고 앞서 지난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싱가포르 선언에서 다시 시작해서 보다 구체적인 방안을 이루는 그런 대화 협상을 해 나간다면 조금 더 속도 있게 북미 대화와 남북 대화를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