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기의 민간통일교육은 단순한 통일문제에 집중하는 것보다 사회 전반의 문제를 폭넓게 다루는 것 속에서 해결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견해가 나왔다.

오늘 오후 은행연합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전환기의 민간통일교육`에서 토론에 참석한 권혁범(대전대)교수, 한만길(한국교육개발원)연구위원 등은 통일에 대한 교육은 좁게는 현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넓게는 우리 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논의하는 과정에 통일문제를 연동시키면 더욱 효과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제1주제 `전환기의 통일교육 내용과 구성`의 발표자로 나온 권혁범 교수는 "`통일`이라는 말속에는 통일을 해야 하는 당위가 포함되어 있다며 통일을 당연시하는 것은 젊은 세대에게 별 설득력이 없다"며 "통일이 필요하다는 근거와 그 반대의 논리를 동시에 제시함으로써 최종적 판단을 본인 스스로에게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배경에서 `통일`보다는 `탈분단`이란 용어가 적합하며 탈분단 교육은 보편적 인권의 차원에서 북한의 인권문제와 남한의 인권문제를 동시에 바라보는 시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홍구(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교수는 북한의 인권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쟁으로부터의 위협을 느끼는 생존권이며 북한의 특수한 정치문화 등은 나름대로 역사적 특수성을 갖고 있어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정현백(성균관대 사학과)교수는 독일의 통일교육은 전쟁문제, 핵문제, 권력문제, 성문제, 인종문제 등 미래에 관한 문제가 대부분인 `평화교육`이었다고 강조하였다.

한편 제2주제 `민간사회단체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의 발표자인 한만길 교수는 통일 교육의 새로운 접근 모형은 `체제우위 모형`에서 `평화공존 모형`으로 바뀌어야 한다며 정치.제도적 통합을 지향하기보다는 사회.문화적 통합을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교수는 사회 문화적 통합을 지향하려면 정부와 민간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하며 특히 정부는 시민사회단체들의 현실적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큰 몫을 차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만길 교수는 민간 사회단체 통일교육의 과제로서 지역 단위의 시민교육 센터를 운영하고 민간 사회단체의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통일교육 예산 확보, 통일교육 담당자의 연수과정 설치와 사회단체가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과 공간이 확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통일 교육 프로그램과 자료를 직접 개발하여 시민들의 자율적인 비판과 토론, 참여를 유도하고, 시민들이 통일을 준비하고 통일을 이끌어 나가는데 필요한 자세와 가치관을 형성하게 도움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통일문제에 대한 캠페인, 언론 감시 활동, 인터넷을 통한 홍보, 정부에 대한 건의문, 북한동포돕기 등 통일운동의 실천이 통일교육의 효과를 얻는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