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오후 4시경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한.중 외교장관 회담이 열렸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로 얼어붙은 한중관계에서 왕이 부장의 방한은 5년 만이다. [사진출처-외교부]

강경화 외교장관과 중국 왕이 외교부장은 북미대화 진전을 위해 협력하자고 뜻을 모았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내년 상반기 내 방한에 대해서는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 사드 배치에 따른 관계 회복이 주된 자리였으나, 중국 측은 중거리미사일 배치 반대 입장을 밝혔다.

4일 오후 4시경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한.중 외교장관 회담이 열렸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로 얼어붙은 한중관계에서 왕이 부장의 방한은 5년 만이다.

2시간 동안 진행된 회담에서 양측은 북미대화가 진전을 볼 수 있도록 협력하는 데 뜻을 모았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반도 문제 관련해서 양쪽이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하기로 했다”며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고 한반도 평화는 유지되어야 하며 한반도에서 전쟁은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공통된 인식 바탕에서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그리고 “북한이 미국과 대화를 통해서 싱가포르공동성명에 대한 공동의 인식에 기초해서 진지하고 착실하게 진전을 이뤄나갈 수 있도록 양국이 소통하고 협력하자고 협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담에서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해 한국에 중거리미사일을 배치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중국 측은 우려를 제기했다. 사드 배치에 따른 양국 간 걸림돌이 아직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거리미사일 배치는 관계악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경고.

회담 배석자에 따르면, 왕이 부장은 미국의 중거리미사일 배치 검토에 대한 우려를 전했으며,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 안정을 추구하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왕이 부장은 회담에 앞선 모두발언에서 “중국은 일관되게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평화 외교정책을 시행하고 나라가 크든 작든 모두 평등한 것을 강조한다”며 “현재 세계의 안정과 평화의 가장 큰 위협은 일방주의가 현재 국제질서를 파괴하고 패권주의 행위가 국제관계 규칙에 도전하는 것”이라며 미국을 겨낭하는 듯한 발언을 하기도 했다.

양국은 사드 배치로 불거진 불편한 상황을 타개하려는데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한한령 해제는 직접 거론되지 않았으나, 인적교류를 우선 강화하기 위해 기존 차관급 인문교류촉진위원회를 강화하고, 차관급 전략대화 채널을 가까운 시일 내에 열기로 했다. 국장급 해양사무협력대화도 신설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인문교류촉진위원회를 열게 되면 양측 간에 인적교류나 협력사업을 전체적으로 펼쳐놓고 논의하게 된다”며 “양국관계를 정상궤도로 가져가서 완전히 정상화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국 장관은 모두발언에서도 관계개선 의지를 보였다. 강 장관은 “양국관계 발전과정에서 발생한 성과를 평가하고 다소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개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심도있는 논의를 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왕 부장은 “중한 양국은 가까운 이웃이자 친구이며 파트너”라며 “현재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국제정세에 대해, 지난 100년 동안 없었던 변화에 처한 배경 하에 이웃들 간에는 왕래를 강화하고 협력을 강화하며 서로 이해하고 지지하고 다 같이 정당한 권익을 수호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건설적으로 역할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담에서는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내년 상반기 방한을 성사시키려는 노력도 엿보였다.

강 장관은 “지역 그리고 세계정세가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한중관계 발전의 중요성에 대해 양국 정상 간 공감대를 바탕으로 한중 양측이 활발한 고위급 교류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서 양국 간 협력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려는 데 대해 서로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왕이 부장은 회담을 마치고 나오면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 국민들이 시 주석 방문을 기대하느냐”고 물으며, “우리는 이웃 나라고 고위층 교류를 강화할 것이다. 채널을 통해 계속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만 말했다.

이날 왕이 부장은 회담 이후 외교부장관 관저에서 만찬을 가졌으며, 5일 오후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접견한 뒤 돌아갈 예정이다.

(추가, 5일 13:35)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