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운동 100주년 기념 대전추진위원회’는 8일 오전, 옛 충남도청사 소회의실에서 대전 감옥 100년을 맞아 ‘대전시 근현대 역사문화사업에 대한 평가와 제언’이란 제목의 심포지엄이 진행되었다. 왼쪽부터 발표에 나선 안여종 대전문화유산울림 대표, 심규상 오마이뉴스 기자, 민양운 풀뿌리여성마을숲 공동대표, 임재근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교육연구팀장. [사진-통일뉴스 오민성 통신원]

대전 감옥(대전 교도소)이 만들어진 지 100년을 맞이한 8일, 대전 감옥과 대전 3.1운동 기념사업, 옛 충남도청 활용방안을 주제로 심포지엄이 열렸다. 주제 발표자들은 대전시의 근시안적 접근을 지적하고 중장기 기획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대전지역 27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3.1운동 100주년 기념 대전추진위원회’는 8일 오전 10시 30분 옛 충남도청 본관 2층 소회의실에서 대전 감옥 100년을 맞아 ‘대전시 근현대역사문화사업에 대한 평가와 제언’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주제는 4가지로, △대전 감옥 100년, 역사성과 제언(임재근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교육연구팀장) △대전 감옥 100년, 그 터에서 살아가는 생활자들의 기억 방법에 관하여(민양운 풀뿌리여성마을숲 공동대표) △대전시 3·1운동 100년 기념사업에 대한 평가와 제언(심규상 오마이뉴스 기자) △'옛 충남도청사 본관 활용 방안 놓고 무슨 일이 있었나'(안여종 대전문화유산울림 대표)였다.

“대전 감옥 터 망루, 일제강점기 아닌 1971년 설치...기록 재정비” 해야

▲ 심포지엄에서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임재근 교육연구팀장이 ‘대전감옥 100년, 역사성과 제언’이란 제목으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오민성 통신원]

임재근 교육연구팀장은 ‘대전 감옥 100년’ 주제 발표에 나서 행정에서 대전감옥 신설 계획을 확정한 때를 1919년 5월 8일(조선총독부령 제86호)이라고 못 박았다. 그동안 신설 계획 확정 일시를 놓고 5월 1일설 등 여러 오류가 있었다.

대전감옥 옛 터(중구 중촌동)에는 망루와 우물이 각각 1곳씩 남아 있다. 임 교육연구팀장은 남아 있는 ‘콘크리트 망루’가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 “국유재산대장(대전교도소,1978)을 보면 ‘1971년 12월 20일 신설’로 기록돼 있다”며 “당시 대전교도소 모서리 네 군데에 설치된 망루 중 하나가 확실하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콘크리트 망루를 지난 2001년,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7호로 등록했다. 하지만 건립 시기를 일제강점기로 추정하는 등 정확한 고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임 팀장은 ‘대전 감옥’에 대한 활용방안으로 △기록물 재정비 △우물을 대전시 문화재자료로 포함시킬 것 △감옥 터에 남아 있는 버드나무의 수령과 연혁 조사 △일제강점기와 민주화 운동 시기 수감 독립운동가의 삶과 행적 조사 △새로운 자료 발굴 △특정 단체(자유총연맹대전시지부) 점유하는 공간이 아닌 개방된 시민의 공간으로 변모시킬 것을 제언했다.

“마을(감옥) 안내소 설치하고 마을 축제, 마을 기행 상설화해야”

▲ 민양운 풀뿌리여성마을숲 공동대표는 ‘대전감옥 100년, 그 터에서 살아가는 생활자들의 기억방법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발표에서 그동안 마을에서 펼쳤던 활동 등을 소개하고, 몇 가지 정책 제안을 했다. [사진-통일뉴스 오민성 통신원]

두 번째 주제 발표에 나선 민양운 풀뿌리여성마을숲 공동대표는 대전 감옥 주변 마을에서 겪은 경험을 토대로 대전시에 대전 감옥을 대하는 대전시와 중구청의 인식을 되짚었다.

민양운 공동대표는 “중촌마을역사탐험대 그루터기를 조직해 처음 한 일이 마을 역사에 대한 공부와 잘못 표기된 안내문 수정 요구”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평화공원 안에 보기 드문 오래된 수령의 왕 버드나무 한 그루가 늘 눈길을 끌어 왔다”며 “대전 감옥의 모든 역사를 지켜보았다고 생각하며 평화의 염원을 담아 ‘평화의 나무 왕버들’ 안내판을 설치했다”고 덧붙였다. 그만큼 행정기관이 대전 감옥 터가 지닌 가치를 외면해 왔다는 지적이다.

민 대표는 대전시와 중구청에 △진행 중인 대전형무소 터 관광자원화 용역과 관련 민관협치로 종합 계획을 마련할 것 △마을(감옥) 안내소 설치와 마을 축제, 마을 기행 상설화 △산내 골령골 공원추진위원회 구성 등을 요구했다.

“3·1운동 기념사업 기념행사 치중...과도한 공사, 끼워넣기 사업 안돼”

▲ 심규상 오마이뉴스 기자는 이날 심포지엄에서 ‘대전시 3.1운동 100년 기념사업’에 대한 평가와 제언‘이란 발표를 통해 대전시의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에 대해 평가한 다음, ’기억 방법‘, ’성찰 과제‘ 등을 제시했다. [사진-통일뉴스 오민성 통신원]

세 번째 주제 발표는 대전시가 추진 중인 ‘3·1운동 100년 기념사업에 대한 중간 점검’이었다. 심규상 오마이뉴스 기자는 ‘대전시 3·1운동 100년 기념사업에 대한 평가와 제언’에서 대전시가 마련한 ‘4개 분야 29개 사업’을 소개하고 “다양한 사업 구상과 고민의 흔적이 보인다”며 “특히 대전 근현대전시관의 ‘1919 대전감옥소 특별전’은 대전의 역사성을 살려 독립운동을 보여준 의미 있는 전시”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는 △사업 구상과 실행체계 미비 △일회성 기념사업에 치중(기념식, 기념행사, 재현생사) △과도한 공사(단재 기념관 건립, 봉강정사 성역화 사업) △끼워 넣기 사업 (유교체험 단지를 만드는 봉강정사 성역화 사업)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기억 방법'으로 △지역 독립운동가 삶 재조명 △독립운동가 발굴 △대전 감옥에 수감된 독립운동가 찾기 △유적지 정비, 탐방을 제안했다.

그는 “대전지방경찰청의 경우 김구 선생의 뒤를 이어 ‘임시정부 경무국장’(현 경찰청장)과 ‘임시의정원 상임위원’을 지낸 강산 김용원 선생(서구 원정동 출생) 선양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지방경찰청 중앙현관에 전시공간을 이용, 강산 선생의 삶을 알리면서도 기존 대전지방청 별관 또는 강당 이름을 ‘김용원 홀’ 또는 ‘김용원 관’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적은 예산으로 실효성을 높이려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성찰 과제로 △왜곡된 기록물 정정과 철거를, 새로운 미래 준비 과제로는 △대전 감옥 터 재정비 △지역 추진위와 연계한 항일-민주-인권-평화를 상징하는 도시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 마련을 제시했다.

충남도청사 활용방안 모두 7차례 용역
“충남도청사 활용 방안 들쭉날쭉...시민에겐 공개도 안 해”

▲ 안여종 대전문화유산울림 대표는 옛 충남도청사 활용방안 논의 과정 및 계획에 우려를 표했다. [사진-통일뉴스 오민성 통신원]

마지막으로 나선 안여종 대전문화유산울림 대표는 ‘옛 충남도청사 본관 활용 방안 놓고 무슨 일이 있었나’ 발표에서 “지난 2005년(대전시)부터 지난 2016년 말(문체부)까지 모두 7차례나 활용방안 용역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안여종 대표는 “문체부는 연수원 기능 중심의 활용안을 제시했고, 허태정 대전시장은 후보 시절 ‘어린이 도서관’ 활용방안을 공약해 이전 논의 결과가 사실상 백지화됐다”고 밝혔다.

그는 “대전시는 올 들어 옛 충남도청사에 있는 대전근현대전시관과 대전인권사무소 등 각계 기관에 퇴거를 요구했고 일부 기관은 이미 이전까지 했다”며 “좌충우돌에 들쭉날쭉 행정”이라고 꼬집었다.

안 대표는 “대전시는 지난 4월, 특위를 꾸려 도청부지 활용에 대한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만, 문체부가 연수원 기능 중심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자 다급해진 상황”이라며 “여전히 관 주도인 데다가 공개 토론회도 없어 시민들은 어떤 논의가 되고 있는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안 대표는 △특위 논의 내용 공개와 소통의 장 마련 △지나친 리모델링 지양을 요구했다.

‘3.1운동 100주년 기념 대전추진위원회’는 이날 심포지엄 결과를 묶어 대전시에 정책 제안할 예정이다. 황성미 대전광역시 인권센터 사무처장의 사회로 열린 이날 심포지엄에는 50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수정, 20:08)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