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6일 오후 ‘2018남북정상회담’ 메인프레스센터에서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최종리허설 내용을 브리핑했다.[사진 - 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남북정상회담 최종리허설이 26일 끝났다. 새로 단장한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도 새집 냄새를 빼는 등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마쳤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6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 마련된 ‘2018남북정상회담’ 메인프레스센터에서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최종리허설 내용을 브리핑했다.

김의겸 대변인은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는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오늘 오후 2시부터 1시간가량 판문점에서 최종 점검을 했다”고 밝혔다. 정경두 합동참모의장을 제외한 남측 공식 수행원 6명이 모두 처음으로 참석했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정 합참의장을 대신했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수행원들은 27일 남북정상회담 일정을 순서대로 진행했다. 북측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오전 군사분계선을 넘어올 때, 문재인 대통령이 어디서 어떻게 맞이할지, 악수는 어떻게 할지, 사진은 어디를 보고 찍을지 등이 검토됐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7일 오전 9시 30분경 판문점 북측지역 판문각을 나와 군사정전위원회 본회의실(T2)과 군사정전위원회 소회의실(T3) 사이를 통과해 군사분계선(MDL)을 넘는다. 여기서 문재인 대통령과 첫 악수를 한다.

김 대변인은 “두 정상이 만나는 동안 나머지 수행원들은 어디에 서 있을지, 또 이동은 어떻게 할지 세세한 부분까지 점검해 보았다”며 “이 모든 진행상황은 두 정상의 대역이 나서서 실제 상황과 거의 흡사하게 진행하도록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최종리허설 대역을 맡은 인물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대통령께서는 특별히 무슨 예전이나 다른 정상회담의 경우와 같이 리허설을 한다거나 또 카게무샤(影武者)를 이용한다든가 이런 것이 없이 오늘 하루 종일 자료를 읽고 또 읽고 내일 회담의 내용에 집중했다”고 밝혔다.

최종리허설에서는 3백여 명의 장병들로 이뤄진 전통 의장대와 3군 의장대의 환영행사와 사열이 똑같이 진행됐다. 북측 최고지도자가 남측 의장대 사열을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00년, 2007년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는 남측 대통령이 북측 의장대의 사열을 받았다.

이어 수행원들은 회담장인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으로 이동했다. 회담장과 만찬장, 휴게실 등을 둘러봤으며, 조명과 꽃장식 등 세세한 부분도 살펴봤다는 전언이다.

특히, 이번 회담을 위해 공사에 들어간 평화의 집에는 ‘새집 냄새’가 남아 있어, 난방 온도를 최대한 높이고, 곳곳에 양파와 숯을 깔아 놨다. 그리고 선풍기를 여러 대를 동원, 냄새를 빼려고 했다고 김 대변인은 설명했다.

그는 “아직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아 정돈된 분위기는 아니었지만, 내일 두 정상을 맞이하는 데는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 마련된 ‘2018남북정상회담’ 메인프레스센터에 내외신 기자들이 몰렸다. [사진 - 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남북 정상들이 단독으로 산책할 ‘도보다리’도 이날 최종 점검됐다. ‘도보다리’는 하늘색으로 새롭게 칠해졌는데, 중립국감독위원회 관계자는 “유엔 색이기도 하지만 한반도기 색”이라고 설명했다는 후문이다.

‘도보다리’ 중간에는 T자형 다리 하나가 더 덧붙여졌고, 끝에는 군사분계선의 의미를 설명한 표지판이 놓였다. 또한, 남북 정상이 잠시 쉬면서 담소를 나눌 수 있도록 의자와 탁자도 마련됐다.

“두 정상이 산책하는 동안에는 아무도 따라붙지 않을 계획이어서 두 분이 실제로 어떤 얘기를 나눌지도 관심”이라고 김의겸 대변인은 말했다.

유엔사 측은 수색견을 이용해 위험물을 탐지했고, 지뢰 제거반은 위험물이 있는지 마지막 점검을 했으며, 판문점 내 중유탱크에서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해 모든 유류를 뺐다.

최종리허설이 진행된 이 날, 문재인 대통령은 집무실에서 정상회담 서류를 검토하는 등 준비를 해나갔고 한다.

“그동안 대통령께서는 세기적인 회담을 앞두고 상당한 중압감이 있으셨는데, 막상 내일 회담을 앞두고는 상당히 홀가분해 하신다는 분위기”라고 김 대변인이 전했다.

역사적인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준비는 모두 끝났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