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러시아가 직접 행동을 통해 이같이 무모한 미사일 발사를 참을 수 없다는 걸 보여야 한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14일(현지시간) ‘북한 미사일 발사’ 대응 성명을 통해 “중국은 북한에 유류 대부분을 공급하고, 러시아는 강제로 노동하는 북한인들의 가장 큰 고용자”라며 이같이 요구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채택된 유엔 안보리 결의 2375호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대북 원유 공급 차단과 북한 노동자 고용 금지 조치 등이 빠진 데 대한 불만을 토로한 것이다. 

틸러슨 장관은 “이같이 끊임없는 도발은 북한의 외교적, 경제적 고립을 심화할 뿐”이라며 “우리는 모든 나라들이 김정은 정권에 대해 새로운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15일 일본 외무성은 고노 타로 외무상이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과 전화통화를 가졌으며, 한미일이 공동으로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안보리 회의는 15일 오후 3시(한국시간 16일 오전 4시)에 열린다고 알렸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고노 타로 일본 외무상과 전화통화를 통해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를 규탄했다. 고노 외무상은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해 보다 강력하고 실효적인 압박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엔 안보리를 포함한 다방면에서 한미일 3국간 더욱 긴밀히 공조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워싱턴 DC로 복귀한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전화협의 중이다. 이에 앞서, 워싱턴 DC 복귀하던 틸러슨 장관과 전화 협의를 실시했으나 통화 상태가 좋지 않아 3분 만에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홍균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조셉윤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각각 전화통화를 통해 “긴밀한 한미일 공조하에 단호하고 강력한 대응 조치들을 취해 나가기로” 했다. 

(추가, 15:44)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