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최근 미국이 상하원에서 별도 처리 과정을 밟고 있던 북한-이란-러시아 제제법을 패키지로 묶어 일괄 통과시키는 등 세계 여러나라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데 대해 '철두철미 저들의 이해관계를 실현하기 위한 파렴치한 수단'이라고 비판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1일 <조선중앙통신>기자와의 문답에서 "미국의 제재놀음이 그 무법성과 파렴치성으로 하여 세계 도처에서 규탄과 배격을 받고있는 것은 너무도 응당하다"며, "세계는 저들의 이해관계만을 추구하면서 때없이 주권국가들에 제재 몽둥이를 휘둘러대는 미국의 깡패행위를 용납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변인에 따르면, 러시아는 미국의 난폭한 행위에 치명적인 반격을 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고 이란은 미 의회의 이번 제재법안 채택을 자국에 대한 완전한 적대행위로 규정하고 그에 대응해 보복조치법안을 채택할 것이라고 맞대응하고 있다.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연합(EU) 나라도 미국의 대 러시아 제재를 비난하면서 '미국 제일주의'를 위해 유럽의 이익이 희생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중국과 베네수엘라도 점차 높아지는 미국의 제재위협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대 중국 '2차제재'(세컨더리 보이콧)가 미ㆍ중사이에 엄중한 마찰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으며,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미국의 제재에 단호한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변인은 "세계 여러 나라들을 상대로 벌어지고 있는 미국의 제재소동은 철두철미 저들의 이해관계를 실현하기 위한 파렴치한 수단"이라며, "에네르기(에너지)시장 확보와 수출확대 등을 통한 '자국경제 살리기'에 목표를 둔 미국의 제재는 경쟁적수들은 물론 동맹국이나 우방국의 이익도 서슴없이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미국 의회는 북한, 러시아, 이란 3개국에 대한 각각의 제재법안을 패키지로 일괄처리하기로 하고 지난 달 27일 상원에서 세나라에 대한 제재법안을 하나로 묶은 '북한-이란-러시아 제재법'을 찬성 98표, 반대 2표로 통과시켰다.
대북제재에는 원유제공차단, 해외노동자 송출 금지 등이 포함돼 있으며, 일부 공화당 의원들은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기업의 현황에 대해 언급하면서 중국책임론을 부각시켜 중국의 반발을 초래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