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사드) 한국 배치 결정 이후, 한.미 국방부는 가능한 조기에 배치하고, 신속하고 지체없이 진행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한.미 국방부는 13일 제10차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회의를 서울에서 마무리하고 공동언론보도문을 발표했다. 지난 12일부터 열린 회의에 한국 측에서는 류제승 국방정책실장, 미 측에서는 에이브러햄 덴마크 동아시아 부차관보, 엘라인 번 핵.미사일 방어 부차관보가 각각 마주했다.

특히, 사드 배치를 다룬 한.미 억제전략위원회(DSC) 본회의에서 양국은 "주한미군 사드 전개에 대한 확고한 공약"을 강조하고, "순수한 자위적 수단으로서 북한에 대해서만 운용되며, 한국의 안보를 보장하고 대한민국 국민과 한.미동맹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그리고 "사드는 다층미사일 방어에 크게 기여하여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미동맹의 미사일 방어 능력을 강화시키게 될 것"이라면서 "가능한 조기에 배치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 중이며, 전개 과정에 대한 신속하고 지체없는 진전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5차 북한 핵실험에 대해 양측은 "한미동맹과 지역 및 범세계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라며 "북한이 국제적 의무와 공약을 준수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를 취하여 모든 핵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방식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미국은 재래식 능력, 미사일방어 능력, 핵능력을 포함한 모든 범주의 확장억제 능력을 사용하여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을 방어한다는 공약을 재확인하였다. 미국은, 자국 또는 동맹국에 대한 그 어떤 공격도 패퇴될 것이며, 그 어떤 핵무기 사용의 경우에도 효과적이고 압도적인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자국의 지속적인 정책을 재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한.미 양국은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전환 실무단(COTWG)' 회의, '안보정책구상회의(SPI)' 등도 함께 열었으며, 오는 제11차 KIDD 회의를 2017년 전반기 미국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