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으로부터 한.일관계 개선 압력을 받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이 11일 <워싱턴포스트(인터넷판)>와의 인터뷰에서 일본군'위안부' 관련 협상이 '마지막 단계(final stage)'라고 밝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역사 문제로 긴장된 한.일관계를 어떻게 개선할 것이며, 아베 총리와 만날 것인가'는 <워싱턴포스트>의 질문에 "위안부 문제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고 우리는 협상의 마지막 단계에 있다"면서 "그러므로, 나는 매우 의미있는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행사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 일본 언론들은 11일 도쿄에서 열린 일본군'위안부' 관련 제8차 한.일 국장급 협의를 바탕으로 오는 21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방일하여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행사'에 참석하고, 서울 주한 일본대사관 행사에 박 대통령이 참석하는 등의 시나리오를 잇따라 보도한 바 있다.

'일본군'위안부' 협의가 얼마나 진전됐는가'는 질문에, 박 대통령은 "막후 협의가 진행 중이라, (세부)요소들을 공개하는 건 자제하겠다"고 했다.

타협점을 찾아가고 있다는 뉘앙스이나, '국가의 법적 책임을 인정하는 사과와 배상'이라는 한국의 요구에 일본이 호응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1990년대 후반 '아시아여성기금', 2012년 '사사에안'에서 보듯, 일본은 '도의적 책임/인도적 지원'이라는 기본 틀을 완강하게 유지해왔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집권 후 3년 반 동안, 그(김정은)이 90여명을 처형했다"며 "사실상 오늘도 공포정치가 계속되고 있다"고 비난했다. "최근 노동당 고위 간부가 탈북해 우리에게 '이너써클까지 포함한 광범위한 숙청이 계속돼 생명의 위협을 느껴 탈출했다'고 토로했다"고 정보사항을 공개하기도 했다. '그 탈북자가 이너써클 내 사람인가'는 질문에는 "노동당 간부"라고 한발 뺐다.

이어 "북한 비핵화가 매우 시급하다"고 했으나, 그 방법에 대해서는 "대북 압력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어떻게'라는 질문에도 "대북 제재를 강화할 것"이라고 되풀이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한국 배치'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는 미국과 함께 많은 요소를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중국의 반대에 압력을 느끼는가'는 질문에는 "안보 문제는 특정국가의 입장에 따라 '예', '아니오' 할 수는 없다"며 "최우선 순위는 어떤 게 국민 보호에 도움이 되는지"라고 말했다.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 박 대통령은 "한국에 있어 남중국해의 안보와 자유로운 항해는 매우 중요하다"며 "사태 진전을 예의주시하고 있고 상황이 악화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최근 다니엘 러셀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남중국해 문제에 한국이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추가, 13:20)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