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 혐의로 북한에 체포돼 지난 26일 평양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김국기, 최춘길 씨 석방을 위한 관계부처 대책회의가 30일 통일부 주재로 열렸다.

통일부 관계자는 31일 오전 “정부는 어제 우리 국민의 북한 억류상황 관련 통일부와 외교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개최했다”고 확인하고 “참석자들은 북한의 금번 조치는 반인권, 반인도주의 처사라는 점을 확인하고 우리 국민 김국기 씨와 최춘길 씨를 조속히 석방할 것을 북한에 재차 촉구했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지금까지 취해온 남북관계 차원의 조치와 함께 국제적십자위원회를 비롯한 국제기구, 그리고 주북 공관 보유국 등 외교적 채널을 통한 조치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면서 “우리국민이 하루빨리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다각적 노력을 다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날 대책회의는 통일부 정책실장 주재로 외교부와 국정원 등 관련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지만 북측에 별도의 통지문은 보내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석방을 위해 북한에 대화 제의는 안하느냐?’는 질문에 이 당국자는 “북측에 우리 의사를 전달하는 방안의 필요성을 검토하겠다”면서도 “남북관계 차원에서도 남북대화가 재개된다면 이런 분들의 석방 송환 문제를 의제로 올려서 북측에게 촉구할 예정”이라고만 말했다.

물밑접촉이나 특사 파견에 대해서는 “현시점에서 어떤 방안을 취하겠다고 하긴 어렵다”면서 “가능한 방안들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하겠다”고 여지를 남겼다.

특히 ‘필요하면 물밑접촉도 할 수 있다는 것이냐?’는 질문에 “가능한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답했지만 막상 ‘남북간 물밑접촉 라인이 구축돼 있느냐?’는 질문에는 “구축이 돼 있다 없다고 단정적으로 말하기는”이라고 말꼬리를 흐렸다.

북한은 26일 평양 인민문화궁전에서 김국기 씨와 최춘길 씨의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미국과 남조선 괴뢰패당의 조종밑에 반공화국 정탐모략행위를 감행하다가 적발체포된 괴뢰정보원 간첩들”이라고 규정해 송환이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지난 2013년 10월 김정욱 선교사에 이어 김국기.최춘길 씨가 북한 당국에 체포됨으로써 북한 억류 한국인은 3명으로 늘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